※ 요약
리눅스 명령어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써,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은근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이며, 내 위치가 궁금할때 사용한다.

※ 경로
/usr/bin/pwd

※ 사용법
pwd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L

 --logical

 심볼릭을 포함하더라도 pwd 환경 변수를 사용

 -P

 --physical

 심볼릭 정보를 무시하고 출력

 

 --help

 pwd 명령어 사용법 출력

 

 --version

 pwd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딱히 설명이 필요없는 명령어이다. 내가 작업 중인 위치가 궁금하여 pwd를 쳤고, 그 결과 /usr/bin이라는 위치가 출력되었다. 고로 내가 작업 중인 위치는 /usr/bin이다.



성수역에서 약속이 있어 방문한 맛집 짬뽕타임입니다. 가게 이름처럼 짬뽕이 주메뉴이며, 면발은 살짝 별로였지만 양이 많고 국물이 맛있네요. 2명에서 갔고, 주문은 짬뽕 하나랑 탕수육, 소주 2병 시켰습니다. 탕수육은 찹쌀 탕수육이고 바삭하니 소스도 맛있네요.


탕수육 먼저 나와 소주랑 먹다보니 짬뽕 찍는걸 깜빡했네요 ㅠㅠ 짬뽕은 야채가 너무 많은 거랑 면발이 살짝 별로인걸 빼면 괜찮아요. 국물은 맛있고 소주 안주로 적당합니다.

위치는 성수역 1번 출구에서 던킨도너츠 쪽으로 가다보면 있습니다.


오랜만에 페리카나에서 시켜먹네요. 이번에 시킨 치킨은 페리카나 순살 닭강정 치킨인데, 가격은 16,000원입니다.

맥주도 같이 한 잔 했는데.. 찍는걸 깜빡했네요. 맥주는 칭타오였어요~


조리한지 얼마 안됐는지 엄청 뜨겁네요. 양념은 맵지 않고 살짝 달아요. 무난한 양념에 무난한 양입니다.




살은 거의 퍽퍽살인데.. 지금은 뜨거운 상태라 괜찮지, 식으면 완전 별로일거 같네요.. 부드러운 살이 가끔 있어요.




※ 요약
Visual Studio를 이용하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사용했을 책갈피 기능. 책갈피 기능은 Visual Studio를 이용할때 생산성을 높여주는 기능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코드를 탐색하거나 디버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너무 많은 책갈피들이 있을 경우 되려 시간을 잡아먹기도 한다. 이럴때 책갈피 창을 이용하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도 하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책갈피 창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번 포스트는 책갈피 기능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작성한 포스트지만 어려운 기능이 아니므로 그냥 봐도 무방하다. 참고로 책갈피 지정/해제는 원하는 라인에서 Ctrl+F2로 하며 책갈피간 이동은 F2다. 책갈피 전체 삭제는 Ctrl+Shift+F2이다. Visual Studio 단축키라는 포스트가 도움이 될 것이다.


※ 책갈피 창

책갈피 기능의 존재는 알면서 책갈피 창의 존재는 모르는 개발자가 의외로 많다. 책갈피 창은 아래와 같이 "보기-책갈피 창"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단축키 Ctrl+K도 지원한다.



아래와 같이 책갈피 창이 보인다. 빨간색 상자처럼 주석 개념으로 개발자가 식별하기 쉽게 코멘트를 달 수도 있는데, 이 주석은 개발자 본인도 엄청 편하지만 다른 개발자에게 소스코드를 인수인계할 때 중요한 부분들을 짚어줄 수 있어 엄청 편리하다.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노란 상자에 있는 체크박스인데, 체크가 해제된 책갈피는 단축키 F2를 눌러도 무시된다. 책갈피 개수가 많고 다 볼 필요가 없을때 엄청 유용하다.


이번에 소개할 기능은 폴더를 이용하여 책갈피를 관리하는 기능이다. 폴더 구성은 개발자가 필요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아래 예제는 기능 위주로 폴더를 구분하였는데, 빨간 밑줄이 폴더 명이다. 개발 중 DB와 관련하여 문제가 생기면 DB 폴더의 책갈피만 보면 되고 출력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출력 부분의 책갈피만 보면 된다. 폴더 옆의 노란색 박스 안의 체크박스를 누르면 폴더 전체적으로 체크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 되니 참고하길 바란다.





낙성대역에 위치한 바르다 김성생입니다.

가끔 가서 김밥 한 줄 먹는 곳인데 김밥 속이 알차고 내용물을 원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아래는 오이 대신 당근으로 채워서 그런지 당근이 정말 많네요. 아래 김밥이 가장 기본 김밥이고 가격은 3200원입니다!



색소를 첨가하지 않은 백색 단무지

위치는 낙성대역 5번 출구에서 직진입니다.


CU 편의점에서 3900원에 구매한 "백종원 맛있닭가슴살 정식"입니다.

CU에 도시락 사러갈 생각은 없었는데, 눈에 보이길래 샀습니다.


전자레인지 출력에 따라 2분에서 2분 30초 돌리면 되구요. 냉장보관입니다.


메인 반찬인 가슴살로 만든 닭조림인데 가슴살로 만들어 조금 퍽퍽한 느낌이 있지만 양파, 감자 등과 함께 조려 내 매콤달콤한 맛이 납니다.


칠리 한입 돈까스 반찬인데 양념이 괜찮습니다. 처음 먹었을때는 돈까스인지 닭강정인지 구분 못 했네요.


무난한 분홍 소시지와 계란말이


호박볶음


볶음김치


닭조림에 들어있는 감자와 당근입니다.


밥입니다.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윈도우 기반 컴퓨터만 사용하다가 맥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은 디스크 용량 확인 조차 쉽지가 않다. 


※ 디스크 용량 확인 방법

먼저 맥 시작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를 띄운뒤, "이 Mac에 관하여" 항목을 클릭한다.



창이 하나 뜨는데 상단 중앙에 위치한 "저장 공간"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용량과 여유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 요약
블로그 용어는 블로그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습득하겠지만 빨리 습득하고 싶거나 당장 궁금한 사람이 있을거 같아 포스팅한다. 블로그 용어 및 약어는 엄청나게 많지만 다 알고 있을 필요는 없고 자주 사용되거나 필수라고 생각되는 것들만 정리해봤다.

※ 용어
블로거 : 블로그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사람

블로깅 : 블로그와 관련된 일체의 행위를 일컫는 말

포스트 : 글이나 이미지, 동영상 등을 올리는 본문 영역

포스팅 : 포스트를 작성하면서 일체의 행위를 일컫는 말

트랙백 : 다른 블로그에 댓글을 대신 비슷한 내용의 본인 블로그 글을 링크 형태로 남기는 것

태그 : 사용자가 만드는 메타 데이터로써, 해당 포스트의 핵심 내용, 핵심 단어를 나타내며 해당 포스트의 검색 노출을 최적화 함

CCL : 블로그 저작권자가 본인의 포스트에 대한 이용 방법과 이용 허락 표시

※ 약어
서이 : 서로 이웃

서이추 : 서로 이웃 추가

이추 : 이웃 추가

본스 : 본문 스크랩

링스 : 링크 스크랩

비공스 : 비공개 스크랩

강선 : 강제 선물



※ 요약
리눅스 명령어 rmdir은 빈 디렉토리를 삭제할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삭제하려는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을 경우에는 삭제를 할 수 없고 rm 명령어가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는 아니다.

※ 경로
/bin/rmdir

※ 사용법
rmdir [옵션]... 디렉토리명...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ignore-fail-on-non-empty

 디렉토리가 비어 있지 않은 경우 삭제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출력 안 함

 -p

 --parents

 상위 경로도 삭제

 -v

 --verbose

 지워지는 디렉토리의 정보를 출력

 

 --help

 rmdir 명령어 사용법 출력

 

 --version

 rmdir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rmdir -v emptyDir1 notEmptyDir1

emptyDir1, notEmptyDir1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하지만 위의 설명처럼 비어있지 않은 notEmptyDir1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며 삭제가 진행되지 않았다.



 

※ 요약
이번 포스트에서는 문자 집합을 이용한 검색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문자 집합은 이전 포스트에서 배웠던 .(마침표)처럼 모든 문자와의 일치가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범위의 문자들과 일치시킬 수 있다. 정규표현식에서 문자 집합은 기초적이고 쉬운 내용이지만 상당히 자주 사용되므로 잘 알아둘 필요가 있다.


※ 문자 집합이 필요한 상황

우리는 t로 시작하고 t로 끝나는, 알파벳으로만 이뤄진 네 글자 단어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 이전 포스트에서 배운 내용으로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할때 "t..t" 밖에 작성을 못할텐데, "t..t"로는 "test"나 "text"처럼 우리가 원하는 값도 찾지만, "t$%t"나 "t-0t"처럼 우리가 찾지 말아야 하는 것도 찾으므로 문제가 된다. 이럴때 문자 집합을 이용하면 간단히 해결된다.


※ 사용 방법
문자 집합은 메타 문자인 [](대괄호)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 사용예
아래는 위의 예제를 수정한 것이다. .(마침표) 대신 메타 문자 []를 이용하여 t로 시작하고 t로 끝나는, 알파벳으로만 이뤄진 네 글자 단어들을 찾았다. [] 안의 a-z는 abcdefghijklmnopqrstuvwxyz와 같은 의미로써, a-z와 일치하는 문자를 검색한다는 의미다.


근데 위의 예제는 오직 소문자만 검색하는데, 대문자도 검색하고 싶으면 아래처럼 A-Z도 추가하면 된다.


아래는 0-9을 이용해 2자리로 숫자로만 이뤄진 단어를 검색하는 예제이다. A-Z처럼 숫자도 0-9로 표현할 수 있으며 당연히 알겠지만 0-9는 마찬가지로 0123456789과 같은 의미다.



이번 예제는 위에서 배운 A-Z, a-z, 0-9 범위들을 응용한 16진수 컬러 코드를 찾는 예제이고 문자 집합 [A-Fa-f0-9]를 이용해 6자리 16진수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의 범위를 찾는 정규표현식을 작성해봤다. HTML 컬러코드는 6자리 이므로 [A-Fa-f0-9]를 여섯 번이나 반복했는데.. 너무 길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긴 하였다.


위의 예제는 길어도 너무 길다. 나중에 배울 내용이지만 아래처럼 구간을 지정해서 정규식을 작성하면 간단히 할 수 있다.



※ 제외하고 검색

[](대괄호)안에 문자 집합을 표현할때 ^(캐럿)문자를 사용하면 해당 표현식은 제외가 된다. 예제를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먼저 {1,}은 나중에 배우겠지만 최소 한 글자거나 그 이상이라는 의미고 [^0-9\n]의 의미는 0-9와 \n를 제외한다는 의미다.

고로 [^0-9\n]{1,}의 의미는 0-9와 \n(개행)을 제외한 최소 한 글자 이상의 패턴을 찾으라는 의미이고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사용시 주의사항

1. -(하이픈)을 이용하여 범위를 지정할때는 작은 값이 먼저 와야 한다. [Z-A]나 [9-0]처럼 값을 거꾸로 하면 안된다.

2. ^(캐럿)은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안에서는 제외를, []밖에서는 문자열의 시작을 나타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