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엑셀

[엑셀] 버전별 새로 추가된 함수 목록 ※ 요약 엑셀은 버전업을 할때마다 새로운 함수들을 추가해왔다. 이렇게 새로 추가된 함수는 하위 버전의 엑셀에서 오픈할 경우 #NAME? 오류를 발생시키기도 하므로 버전별로 추가된 함수들을 알아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엑셀 버전별로 새로 추가된 함수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새로 추가된 모든 함수들을 나열하지는 않았는데, 그 이유는 생각보다 많아서 필자 손가락이 아플까봐다.. 고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한 독자는 맨 아래 관련 페이지를 참고하기 바란다. ※ 임시 엑셀 버전 함수 설명 2007 SUMIFCOUNTIFSAVERAGEIF AVERAGEIFSIFERROR 다중 조건 처리 함수들 추가됨 2010 RANK.EQRANK.AVGNETWORKDAYS.INTLWORKDAY... 더보기
[엑셀] #NAME? 오류 원인 및 해결 ※ 요약 엑셀에서 #NAME? 오류는 함수명을 틀리게 입력하거나 정의된 이름을 잘못 사용한 경우 등에 나타나는 오류다. #NAME? 오류는 발생하는 상황이 비교적 다양한 편이므로 문제 해결시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정확히 판단한후 해결하는 것이 좋다. ※ 오류 발생 가능 상황 - 함수명 잘못 사용 - 정의된 이름 잘못 사용 - 수식 내에서 텍스트 값 입력시 큰따옴표(") 생략 - 엑셀 상위 버전에서 제공되는 함수를 하위 버전의 엑셀에서 사용할 경우 ※ 오류 상황 재현 및 해결 방법 아래 오류 상황은 평균을 구하는 함수 AVERAGE의 철자를 잘못 사용하여 #NAME? 오류가 발생한 상황이다. 아래 상황은 단순히 오타가 있어서 발생한 오류로써, ABERAGE라지라고 잘못 입력된 함수명을 AVERAGE라고.. 더보기
[엑셀] #N/A 오류 원인 및 해결 ※ 요약 #N/A는 Not Available이라는 의미로써 찾는 값이 없을때 발생하는 오류다. 보통 MATCH나 VLOOKUP과 같은 지정한 값을 찾는 함수를 이용할때, 찾는 값이 없으면 발생한다. ※ 오류 상황 재현 MATCH함수를 이용하여 #N/A 오류 상황을 재현해봤다. 참고로 MATCH 함수는 첫 번째 인수 값을 두 번쨰 범위에서 찾아, 범위의 몇 번째에 해당하는 값이 있는지 찾는 함수다. D3 셀에 수식을 =MATCH(D2, A2:A7, 0) 이라고 입력한뒤 D2 셀에 서울을 입력하면 1이라고 나오는데, 서울은 지정된 범위 [A2:A7] 중 첫 번쨰에 있어서 1이라고 나왔다. 그럼 이번에는 서울 대신 중간에 공백 문자를 포함하여 서 울이라고 입력해보자. 그럼 아래와 같이 #N/A가 나오는 걸 볼.. 더보기
[엑셀] 판단 함수 - IF 사용법 알아보기 ※ 요약 비교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을 비교하는 연산자로써, 엑셀에만 존재하는게 아니라 C나 C++, Java, C#, Python 등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존재하는 매우 중요한 연산자 중 하나다. 엑셀에서의 비교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 >=, 더보기
[엑셀] #DIV/0! 오류 원인 및 해결 ※ 요약 엑셀에서 #DIV/0!는 나눗셈을 할때 발생하는 오류로써, DIV는 Division(나눗셈)을 의미하고 DIV/0는 0으로 나누려고 했기 때문에 계산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DIV/0! 오류는 보통 나눗셈 연산이 들어있는 계산식이나 QUOTIENT, MOD 함수를 이용할때 발생한다. ※ 오류 상황 재현 QUOTIENT 함수와 MOD 함수를 이용하여 #DIV/0! 오류를 발생시켰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나눗셈의 분모 값이 0이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였다. ※ 문제 해결 나눗셈의 분모 값을 확인하여 0이 아니도록 수정한다. 더보기
[엑셀] 텍스트형 숫자와 숫자, 텍스트의 차이 ※ 요약 텍스트와 숫자는 구분하기 쉽지만 "텍스트형 숫자"는 생소한 개념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3가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명 아래는 숫자와 텍스트형 숫자, 텍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제이다. 필자는 C++개발자라 특별한 설명 없이도 아래 개념을 이해할 수 있지만 개발자가 아니거나 아래 개념을 처음 접한 사람이라면 생소할 수 있겠다.[A2]셀에 입력된 값은 숫자다.[A3]셀에 입력된 값은 아포스트로피(')를 먼저 입력하고 숫자 1000을 입력하므로써 셀 표시 형식이 텍스트로 적용되었다. 결과는 보면 1000으로 나와 숫자 같지만 셀 표시 형식이 텍스트 형식으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텍스트로 구분된다.[A4]셀에 입력된 값은 숫자와 문자가 함께 입력되었으므로 숫자가 아닌 텍스트이다. 더보기
[엑셀] 연산자 우선순위 ※ 요약 연산자 간에는 우선순위가 있어서 어느 연산자가 먼저 계산될지 결정된다. 이를 연산자 우선순위라 하며, 우선순위를 변경하고 싶다면 괄호를 이용하여 바꾸면 된다. ※ 연산자 우선순위 참조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연결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상세 연산자 우선순위 우선 순위 소속 연산자 설명 1 참조 :(콜론) 2 " "(공백) 3 ,(쉼표) 4 산술 -(음수) 5 %(백분율) 6 ^(제곱) 7 *(곱셈), /(나눗셈) 함께 사용하면 수식의 좌측부터 연산 8 +(덧셈), -(뺄셈) 9 연결 &(앰퍼샌드) 10 비교 =, >, >=, 더보기
[엑셀] 연산자 - 연결 연산자 ※ 요약 이번에 소개할 연산자는 텍스트 연결 연산자이다. 연결 연산자는 &(Ampersand)기호응 사용하며, &를 기준으로 좌우의 값을 하나로 연결할 때 사용한다. 글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예제를 한 번 보는게 빠르다. ※ 연결 연산자 설명 연결 연산자 명칭 설명 & Ampersand(앰퍼샌드), And 좌측 피연산자와 우측 피연산자의 값을 하나의 값으로 연결하여 반환 ※ 예제조건식과 결과를 보면 알겠지만 셀을 참조하여 값을 연결하거나 셀과 임의의 문자열 값을 연결할 수 있는 걸 알 수 있다. 더보기
[엑셀] 연산자 - 참조 연산자 ※ 요약 수식에서 다른 셀을 참조하기 쉽도록 지원하는 세 가지 문자(콜론, 쉼표, 공백)를 참조 연산자라고 하며, 셀이나 셀 범위를 참조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 참조 연산자 종류 및 설명 참조 연산자 명칭 설명 : 콜론 연속된 데이터 범위를 참조함 [A1] 셀부터 [A100] 셀까지 참조한다면 [A1:A100]과 같이 사용 , 쉼표 떨어진 데이터 범위를 참조함 [A1] 셀, [D1] 셀, [F1] 셀을 참조한다면 [A1, D1, F1]과 같이 사용 " " 공백 두 개의 데이터 범위의 교집합을 참조함 [A1:C100 B5:Z5]는 두 범위가 교차되는 [B5:C5] 셀 범위를 참조 ※ 콜론(:) 예제C3 셀부터 C5까지의 합을 구하기 위해 SUM(C3:C5)을 입력하여 C3+C4+C5의 합을 C8 .. 더보기
[엑셀] 연산자 - 비교 연산자 ※ 요약 개발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엑셀에도 비교 연산자가 존재한다. 비교 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을 비교하여 참이냐 거짓이냐에 따라 논리값(TRUE, FALSE)을 반환하며, 반환된 값에 따라 일을 구분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번 내용은 개발을 하지 않았거나 비교 연산자를 처음 사용해보는 사용자라면 생소할 수 있겠으나 초등학교 때 배운 내용(부등호)이므로 예제를 보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비교 연산자 종류 및 설명 비교 연산자 명칭 설명 = 같음/등호 좌측 피연산자와 우측 피연산자 값이 같은지 판단 > 보다 큼 좌측 피연산자 값이 우측 피연산자 값보다 큰지 판단 >= 크거나 같음 좌측 피연산자 값이 우측 피연산자 값과 같거나 큰지 판단 더보기
[엑셀]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요약 개발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엑셀에서도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같은 계산을 지시하는 연산자가 존재하는데, 이를 산술 연산자라 한다. 엑셀에서는 텍스트형 숫자도 숫자로 변환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 산술 연산자 종류 및 설명 산술 연산자 명칭 설명 + 플러스 좌측 피연산자와 우측 피연산자를 더함 - 마이너스 좌측 피연산자와 우측 피연산자를 뺌 숫자 앞에 사용된 경우에는 음수를 의미 * 아스테리스크 좌측 피연산자와 우측 피연산자를 곱함 / 슬래시 좌측 피연산자를 우측 피연산자로 나눔 ^ 캐럿 좌측 피연산자를 우측 피연산자로 거듭제곱 % 퍼센트 좌측 피연산자의 숫자를 백분율로 표시 ※ 예제아래는 실제 엑셀에서 작성한 결과를 캡쳐한 화면이다. 더보기
[엑셀] 형식 - 텍스트 표시 형식 이해하기 ※ 요약 엑셀에 임의의 데이터를 입력했을때, 입력한 그대로 표시되지 않고 의도하지 않은 다른 형식으로 표시될때가 있다. 이럴때는 셀의 표시 형식을 "텍스트"로 지정하면 입력한 값 그대로 표시가 된다. 대신 필요에 따라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 텍스트 표시 형식으로 변경 원하는 셀을 선택 후 표시형식을 텍스트로 바꾸면되는데, 아래 이미지에서 빨간 네모가 표시 형식을 바꿀 수 있는 곳이다. 아래 이미지는 각각 "0123"과 "1-1"을 입력한 화면인데, 일반 형식에서는 입력한대로 표시괴지 않고 "123"과 "01월 01일"로 표시되는 걸 볼 수 있다. 이럴때는 표시 형식을 텍스트로 바꾸면 입력한 그대로 표시된다. 더보기
[엑셀] 형식 - 지수 표시 형식 이해하기 ※ 요약 셀에 입력된 숫자가 크면 아래와 같이 지수 형식으로 표시가 된다. 보통 12자리가 넘을 경우 자동으로 지수 형식으로 변경되어 표시가 되는데, 입력한 숫자 그대로 출력하려면 표시 형식을 변경해야 한다. ※ 표시 형식 변경 지수 형식으로 표시된 셀을 선택 후 , "표시 형식" 그룹에서 "숫자"로 변경하면 아래와 같이 입력된 숫자 그대로 출력된다. 더보기
[엑셀] 형식 - 날짜와 시간 ※ 요약 엑셀에서 날짜나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은 일반 사용자가 날짜와 시간을 인식하는 방법과는 사뭇 다르다. 따라서 날짜와 시간 데이터로 계산 하려면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 날짜 요약 엑셀에서는 날짜를 날짜 일련번호라고 부르며 인식할 수 있는 날짜의 범위는 1900년 01월 01일 부터 9999년 12월 31일까지다. 기준일은 1900년 01월 01일로써, 하루가 지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방식으로 날짜를 관리한다. 고로 2016년 01월 01일은 일련번호 42,370으로써 기준일인 1900년 01월 01일로 부터 42,370일 지났다는 의미다. ※ 날짜 인식 사용자는 엑셀에 날짜를 입력할 때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해야 정확한 날짜 값으로 인식한다... 더보기
[엑셀] 서식코드 - 텍스트, 일반 ※ 요약 서식코드는 엑셀의 셀에 입력된 값을 원하는 대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써,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과 사용자 지정 서식이 있다. 이번에 알아볼 서식코드는 텍스트와 일반에 대한 것이다. ※ 텍스트, 일반 관련 서식 데이터 형식 서식 코드 설명 텍스트 @ 텍스트 값을 있는 그대로 표시한다. * asterisk(*) 뒤에 입력된 문자나 문자열을 셀 크기에 맞게 반복해 표시한다. 일반 G/표준 표시 형식에서 [일반]을 의미하는 서식코드로 셀에 입력되어 있는 값 그대로 표시한다. ※ 서식 아래는 Ctrl+1 단축키로 실행한 셀 서식이다. 텍스트, 일반과 관련된 서식들을 볼 수 있다. 더보기
[엑셀] 서식코드 - 날짜, 시간 ※ 요약 서식코드는 엑셀의 셀에 입력된 값을 원하는 대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써,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과 사용자 지정 서식이 있다. 이번에 알아볼 서식코드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것이다. ※ 날짜, 시간 관련 서식코드 데이터 형식 서식 코드 설명 날짜/시간 YYYY 날짜 값 중 4자리 연도(Year)를 표시한다. YY 서식코드를 사용하면 2자리만 표시된다. MM 날짜 값 중 월(Month)을 표시한다. MM 서식코드는 01~09월과 같이 한 자리 월 앞에 0을 붙여 2자리로 표시한다. 1~9월과 같이 한 자리로 표시하려면 M을 사용한다. DD 날짜 값 중 일(Day)을 표시한다. AAA 날짜 값의 한글 요일(월~일)을 표시한다. 요일까지 표시하려면 AAAA를 사용한다. DDD 날짜 값의 영어 요일(Mon~Su.. 더보기
[엑셀] 서식코드 - 숫자 ※ 요약 서식코드는 엑셀의 셀에 입력된 값을 원하는 대로 표시하는 방법으로써, 기본으로 제공되는 것과 사용자 지정 서식이 있다. 이번에 알아볼 서식코드는 숫자에 대한 것이다. ※ 숫자 관련 서식코드 데이터 형식 서식 코드 설명 숫자 # 숫자를 의미한다. #을 하나만 사용하면 셀에 입력된 숫자를 그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셀에 0이 있다면 셀에는 아무 값도 표시되지 않는다. 0 #처럼 숫자를 의미하지만 #과 달리 셀에 입력된 값이 0이면 0을 그대로 표시한다. 그리고 셀에 입력된 값보다 자릿수를 늘려지정하면 해당 단위가 0으로 된다. 예를 들어셀에 1을 입력하고 서식 코드를 000으로 하면 001로 표시된다. ? ? 서식은 #과 0의 장점을 섞은 것이다. 셀에 0이 있으면 #과 같이 셀에 아무 값도 표시.. 더보기
[엑셀] 버전별 차이 및 수식의 제한 사항 ※ 요약 엑셀의 기능이 아무리 많다고 하지만 모든 작업을 제한없이 처리할 수는 없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의 버전별 차이 및 수식의 제한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다. ※ 버전별 차이 및 수식 제한 사항 항목 Excel 2007, 2010, 2013 Excel 2003 숫자 정밀도 15 15 워크시트의 열 16,384 1,024 워크시트의 행 1,048,576 65,536 수식의 길이 8,192 1,024 함수의 인수 255 30 함수의 중첩 64 7 배열 수식의 열 참조 제한 없음 65,535 ※ 참고사항 엑셀 2013에서 제작한 문서를 2003(xls)형식으로 저장하고 엑셀 2003에서 실행하면 2003 버전에 맞게 변경된다. 더보기
[엑셀] 하이퍼 링크 일괄 삭제하기 ※ 요약 엑셀 파일 내 하이퍼 링크가 걸린 cell들에 대하여 일괄로 하이퍼 링크 삭제하는 방법이다. ※ 방법 아래와 같이 하이퍼 링크를 삭제할 셀들을 선택한다. 전체 셀들에 대해 하이퍼 링크를 삭제 하려면 Ctrl+A를 눌러 전체 셀을 선택해 주면 된다. 선택된 셀들 중에 아무 셀에 마우스 우클릭을 한 뒤, "하이퍼 링크 제거(R)" 버튼을 누른다. 하이퍼 링크가 삭제된 모습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