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유용한 정보

[리눅스] CentOS vsftpd 패시브 모드 및 포트 설정하는 방법 ※ 요약FTP를 이용하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ftp는 Active모드와 Passive모드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할 때는 무엇이 더 좋다할 정도는 아니며 필자가 사용중인 CentOS7에는 기본적으로 액티브 모드가 기본 값이라 이번 포스트에서는 패시브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Active 모드 방식 및 특징- 모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측 21번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고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두번째 포트를 서버에 통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ack를 보내고 서버의 20번 포트는 클라이언트가 알려준 두번째 포트로 접속을 시도- TCP/IP에서는 보통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시도하는데 액티브모드에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접속을 시도- 만약 클라이언트 PC등에 방화벽이나 공유기가 있어 외부에.. 더보기
[리눅스] 500 OOPS vsftpd: refusing to run with writable root inside chroot() ※ 요약필자는 리눅스(CentOS7) 서버를 운영중이고, 이 서버에 FTP를 구축하여 처음 연결을 시도하였는데 아래와 같이 500 OOPS vsftpd: refusing to run with writable root inside chroot()라는 메시지와 함께 Critical error가 뜨면서 연결이 되지를 않았다. 원인은 chroot내에 쓰기 권한이 없어서 발생한 문제로써, 설정을 바꿔주면 해결되는 문제다. ※ 해결 방법참고로 필자는 CentOS7 배포판을 이용중이다. 우분투나 기타 다른 배포판은 설정 방법이 조금 다를 수 있으므로 참고바란다. 먼저 vi로 /etc/vsftpd/vsftpd.conf 파일을 열도록 한다. vi 내에서 찾기로 allow_writeable_chroot를 찾으면 아래와 같.. 더보기
[리눅스] ls 명령어 사용시 시간 출력 형식을 내 맘대로 ※ 요약 리눅스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ls, 필자도 정말 많이 사용하는데, 마음에 안드는게 하나 있다면 시간 출력 형식이랄까? 바로 아래와 같이 말이다. 코쟁이들은 숫자면 숫자, 글자면 글자만 사용할 것이지 글자랑 숫자랑 섞으니 가독성도 안좋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여 불편하지 않은가.. 물론 날짜 표기를 월.일.연 혹은 일.월.연 등 순서가 뒤죽박죽이라 구분하기 위해서라지만 한국 사람들에게 불편한건 변함이 없다. 아무튼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날짜 형식을 내 맘대로 조절해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 먼저 vi ~/.bashrc를 입력하여 아래와 같이 .bashrc 파일을 열도록 한다. 아시겠지만 .bashrc는 홈디렉토리 하위에 존재하며 ~는 홈 디렉토리를 의미하므로 vi ~/.b.. 더보기
[리눅스] CentOS 및 Ubuntu에서 sudo로 root 권한 얻는 방법 ※ 요약 카페24에서 새로운 리눅스 가상 서버를 분양 받은뒤 파이썬3 설치 작업을 위해 일반 계정으로 sudo 명령을 실행하니 아래와 같이 계정명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며 root 권한을 못 얻는게 아닌가? 원인은 /etc/sudoers에 계정이 등록되지 않아 발생한 문제였었고, 현재는 계정을 등록 해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한 상태다. 이 포스트는 다음에 또 같은 문제로 고생하지 않기 위해 정리할겸 포스팅한다. ※ 설정 방법 sudo가 안되므로 root로 로그인한뒤 visudo -f /etc/sudoers 라고 입력한다. 아래와 같이 root 계정 밑에 아래 행을 추가해준다. 필자는 root 행을 그대로.. 더보기
[리눅스] mysql 및 mariadb 접속 포트 변경하는 방법 ※ 요약 필자는 카페24에서 리눅스 가상 서버를 2대 호스팅 받아 이용중이다. 하나는 CentOS 6.7, 또 하나는 CentOS 7.2를 말이다. 2대는 각각 mysql5.1과 mariadb5.5를 사용중이며 보안상 기본 포트인 3306을 다른 포트로 변경하여 사용중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mysql 및 mariadb의 접속 포트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 사실 mysql과 mariadb의 설정 방법은 동일하다. 먼저 root 계정으로 "vi /etc/my.cnf"라고 입력한다. 맨 윗 줄에 [mysqld]라고 되어 있는게 보일 것인데, mysqld이 [ ]로 감싸져 있는 이유는 구역(섹션)을 나누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즉 다른 [구역]을 만나기 전까지는 mysq.. 더보기
[리눅스] 칼리 리눅스(Kali Linux) 특징 및 다운로드 방법 ※ 요약 칼리 리눅스(Kali Linux)는 백트랙의 후속 버전으로써 해킹 및 정보 보안을 테스트하기 위해 만들어진 리눅스 배포판이다. 용도가 용도인 만큼 수많은 해킹 툴들이 준비되어 있으며, 무료로 다운로드 및 사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백트랙은 우분투 기반, 칼리는 데비안 기반이다. ※ 다운로드 링크 https://www.kali.org/downloads/ ※ 다운로드 방법 상기의 다운로드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많은 종류의 ISO 이미지 파일들이 있어서 무엇을 받을지 모르겠다면 아래에 표시된 빨간 박스 안의 파일을 받기 바란다. 가장 무난한 버전으로써 64비트이며 용량은 2.9G다. 1.1G 용량의 라이트 버전도 있지만 초보자가 받으면 고생할 수도 있다. UI가 없는 텍스트 모.. 더보기
[리눅스] 터미널 색상 변경하기 ※ 요약 아래는 리눅스의 기본 터미널 모습이다. 흰 바탕에 검정색 폰트.. 밋밋하고 지루한 모습. 다행인건 이 지루한 터미널의 색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인데, 색상을 변경하여 개성있게 사용해보자. ※ 색상 변경 방법 먼저 터미널을 실행한뒤 편집 -> 프로파일 기본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색 탭을 선택한뒤 시스템 테마 색 사용 항목을 체크 해제(Uncheck)하고 글자색과 배경색을 원하는 색으로 바꿔주면 된다. 필자는 아래와 같이 하늘색 배경과 흰 색으로 바꿔보았다. 독자들도 원하는 색으로 변경하여 사용해보기 바란다. ※ 관련 페이지 - [윈도우] 콘솔 색상 변경하여 개성있게 사용하기 - [맥os] 터미널(콘솔) 창 색상 테마 변경하기 - [C언어] 콘솔 창에서 컬러 텍스트 출력 더보기
[리눅스] Linux Mint(민트) 특징 및 다운로드 방법 ※ 요약 리눅스 민트(Linux Mint)를 다운받는 방법을 소개하는 포스트다. 리눅스 민트는 우분투에서 파생된 배포판으로써, Java와 플래시 웹 플러그인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바로 사용하기 편한 배포판이다. 우분투에서 파생된 배포판이다 보니 우분투에 적용되는 팁의 대부분이 리눅스 민트에서도 적용가능하다. ※ 시스템 요구사항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PU (x86) 600MHz 1GHz Ram 512MB 1GB HDD 5GB 10GB ※ 리눅스 민트와 우분투 차이점 - 우분투보다 GUI(외형)에 더 신경씀- 우분투보다 더 많은 소프트웨어 및 코덱, 플러그인 등이 설치되어 있어 더 편함(물론 용량은 더 차지함)- 다국어는 우분투가 더 잘 지원함 ※ 리눅스 민트 사이트 링크 https://www.linu.. 더보기
[리눅스] ssh 접속 포트 변경으로 보안 강화 ※ 요약 필자는 리눅스 가상 서버를 호스팅 받아 사용중이고 이 가상 서버는 ssh 접속을 통해 관리 한다. 이때 ssh가 사용하는 기본 포트 번호 22는 잘 알려진 포트 번호로써 언제나 해킹의 위험이 있으므로 바꿔주는 것이 좋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sh의 접속 포트 번호를 바꾸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다. ※ 관련글 - SSH 접속 장애시 원인별 로그http://shaeod.tistory.com/582 ※ 설명 먼저 "vi /etc/ssh/sshd_config"를 입력한다. 필자는 CentOS를 사용중이다. 리눅스 배포판 마다 경로가 다를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 파일 내용중 Port가 있는데 여기에 원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처음에는 #으로 주석 되어 있으니 #도 제거해줘야 한다. 참고로 포트 .. 더보기
[리눅스] Fedora(페도라) 다운로드 미러 사이트 ※ 요약 Fedora 리눅스의 미러 사이트를 소개하는 포스트이다. 필자는 대학교때 페도라 리눅스로 공부하여 Ubuntu나 CentOS보다 좀더 친근한 느낌이 든다. ※ 링크 https://admin.fedoraproject.org/mirrormanager/ ※ 다른 리눅스 배포판CentOSUbuntu ※ 설명필자가 09년 대학생때 08인가 09버전으로 공부한거 같은데 벌써 24버전까지 나왔다. 시간 참 빠르다는 생각이 든다. 다운로드는 아래 페이지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여 받으면 된다. 더보기
[리눅스] Ubuntu(우분투) 다운로드 미러 사이트 ※ 요약 Ubuntu 리눅스의 지난 버전 및 최신 버전들을 다운받을 수 있는 우분투 미러 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필자는 우분투 및 기타 리눅스 배포판을 다운 받을때 주로 미러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이유는 원하는 버전 및 지난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공식 사이트에 등록된 미러 사이트에서 다운받아야 보안상 안전하다. ※ 링크 https://launchpad.net/ubuntu/+cdmirrorshttp://ftp.riken.jp/Linux/ubuntu-releases/ ※ 다른 리눅스 배포판 다운로드CentOSFedora ※ 설명첫 번째 링크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349개의 미러 사이트 목록이 있으며 자신의 국가나 가까운 국가를 선택하여 다운받으면 된다. 등록된 미러 사.. 더보기
[리눅스] CentOS 다운로드 미러 사이트 ※ 요약 필자는 Fedora 및 Ubuntu, CentOS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그중 CentOS의 미러 사이트를 정리할겸 포스팅한다. CentOS의 지난 버전 및 최신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 링크 http://mirror.centos.org/ ※ 다른 리눅스 배포판 다운로드 Ubuntu Fedora ※ 설명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다양한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필자는 테스트할 용도로 6.x과 7.x를 다운받았다. 독자들도 필요한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기 바란다. 더보기
[리눅스] root 계정 FTP 530 Permission denied ※ 요약 530 Permission denied가 뜨는 이유는 접속 거부 리스트에 있는 계정으로 ftp에 접속하려고 하기 때문인다. 리눅스의 vsftp는 보안을 위해 접속 거부 리스트를 가지고 있고, 강력한 권한을 가진 root 계정도 기본적으로 접속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어서 "530 Permission denied" 메시지가 뜨면서 접속이 안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접속 거부 리스트에서 root 계정을 없애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수정해야 하는 파일 목록 수정해야 하는 파일은 아래 2개다. /etc/vsftpd/ftpusers /etc/vsftpd/user_list 위 2개 파일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ftpusers : 차단할거지만 패스워드는 물어봄, 맞든 틀리든 거부 user_lis.. 더보기
[리눅스] 배포판 종류별 타임라인 ※ 요약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현재 배포되고 있는 배포판의 종류와 출현 시기 등이 궁금할 때가 있다. 필자도 궁금하여 찾아봤는데 위키피디아에 정리된 게 있어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사이트https://en.wikipedia.org/wiki/File:Linux_Distribution_Timeline.svg ※ 설명사이트에 방문하면 아래와 같이 타임라인 형식으로 리눅스 배포판 종류와 출현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가 많아서 좋기는 하지만 보기가 불편하다. 더보기
[Linux] vi, vim 명령어 및 이동 단축키 모음 ※ 요약 필자가 에버노트에 정리해두었던 vi, vim 명령어 및 이동 단축키 파일이다. 아래 단축키 이미지들을 출력해서 벽이나 파티션에 붙여두고 필요할 때마다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로 Visual Studio 단축키도 정리해두었다. ※ 단축키 더보기
[리눅스] Signals 정리 ※요약 Signal은 Unix/Linux에서 커널이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비동기적인 사건을 알려주거나 시간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signal을 받은 프로세스는 보통 3가지 작업을 할 수 있다.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signal 무시, 받은 signal에 따른 적절한 행동이 그 3가지이다. 필자가 리눅스에서 C로 개발하면 처음 접한 signal은 SIGSEGV(11)이다. SIGSEGV은 잘못된 메모리 관리 때문에 생기는 신호로써, sprintf함수를 이용하여 서식 문자를 만들다가 int형을 %s로 서식을 지정하여 발생하였었다. ※특징 아래는 signal 리스트이다. Signal Name Number Description SIGHUP 1 Hangup (POSIX) SIGINT 2 Te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