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유용한 정보

[C언어] 각 변수 타입별 printf 함수 서식 문자 printf 끝에 붙어 있는 f는 Formatting의 약자로써, 서식화된 출력을 한다는 뜻입니다. printf함수는 %로 시작하는 서식과 인수(변수)를 대응시켜 조립(Formatting)하는 과정을 거친 뒤 문자열로 출력합니다. 아래는 서식 표 입니다. 출처 책 : 혼자 연구하는 C/C++( page 86 )에 제가 조금 덧붙였습니다. 서식 의미 출력 타입 설명 %hd short integer unsigned short 부호없는 10진 정수 출력 %d 또는 %i Decimal, Integer int 10진 정수 출력 %ld long 10진 정수 출력 %lld long long 10진 정수 출력 %lu unsigned long 부호없는 10진 정수 출력 %I64d __int64 10진 정수 출력 %I64.. 더보기
memset 함수 사용시 주의사항 출처 : 잡동사니님 블로그 - 1Bytes 변수( char, unsigned char 등 )를 제외한 변수를 초기화 할 때는 0 이외의 값으로 초기화를 하면 안됨- new, malloc 등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배열을 생성하는 변수가 있는 struct, class에서는 memset으로 초기화를 하면 안됨- CString은 절대 memset으로 초기화를 하면 안됨- virtual function을 가지고 있는 struct, class에서는 절대 memset으로 초기화를 하면 안됨 memset을 사용할 때 위 4가지 경우만 기억을 하고 있으면 문제없이 동작합니다. 각각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죠 -1Bytes 변수( char, unsigned char 등 )를 제외한 변수를 초기화 할 때는 0 이외의 .. 더보기
[C언어] 선증가 ++i 와 후증가 i++ 의 속도 차이 x = i++; 선증가가 아닌 위와 같이 후증가로 코드를 작성하면 증가 함수가 i의 원래 값에 복사본을 만든 뒤 i를 증가시키고 원래의 값을 반환,임시 객체의 생성을 야기시켜 속도가 느려진다고 한다. 요즘엔 컴파일러 최적화가 잘 되어 있어 ++i, i++이나 속도 차이가 없다고 한다. 더보기
[C언어] 각 데이터형 범위 C언어 각 데이터형 범위 입니다.출처는 MSDN입니다. Type NameBytesOther NamesRange of Valuesint4signed–2,147,483,648 to 2,147,483,647unsigned int4unsigned0 to 4,294,967,295__int81char–128 to 127unsigned __int81unsigned char0 to 255__int162short, short int, signed short int–32,768 to 32,767unsigned __int162unsigned short, unsigned short int0 to 65,535__int324signed, signed int, int–2,147,483,648 to 2,147,483,647unsig..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