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크,팁,정보/맥OS

[맥os] 맥북 와이파이 우선 순위 설정 및 항목 제거로 연결 속도 향상 시키기 ※ 요약필자는 맥북을 집에서도 사용하지만 회사 및 카페, 도서관, 친구 집 등 여러 곳에서 사용한다. 이렇게 여러 곳에서 사용하다보니 여러 와이파이에 접속하게 되었고, 지금은 그 수가 30여 개가 넘게 되었는데, 이렇게 와이파이 목록이 많으면 좋은 것일까? "답은 그렇지 않다"다. 와이파이들에는 우선 순위가 있는데 자주 사용하지 않는 와이파이가 상위 우선권을 가지고 있으면 다음 순위의 와이파이를 잡는데 그만큼 오래 걸린다. 또 다시는 잡을 일이 없는 것에도 검색 및 연결을 시도하므로 전력도 더 많이 먹을 것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와이파이 우선 순위 설정 및 항목 제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맥북과 아이폰을 같은 애플 아이디로 사용한다면 와이파이 목록 또한 .. 더보기
[맥os] 맥의 작업관리자인 활성상태보기로 시스템 자원 현황 보기 ※ 요약 윈도우에는 작업관리자가 있어 각종 시스템 현황(프로세스, 성능(CPU, 메모리, 디스크, 이더넷), 앱 기록 세부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는데, 맥에서는 어떻게 시스템 상태를 파악할까? 정답은 활성상태보기 앱이다. 활성상태보기 앱은 맥의 작업관리자로써, CPU와 메모리는 물론이고 배터리, 네트워크 상태 등을 살펴볼수 있다. ※ 시스템 현황 보는 방법 먼저 앱을 실행해보자. 아래와 같은 절차대로 하면 된다. 1. 돋보기 아이콘을 눌러 검색 창을 띄운다. 2. 검색어에 "활성 상태 보기"라고 입력한다. "활"자만 입력하여도 자동 완성된다. 3. 검색 결과 중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실행된다. 아래는 실행된 활성상태보기 앱이다. 맨 먼저 CPU 영역인데, 어느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의 CPU의 점유율.. 더보기
[맥os] 마우스 연결시 맥북 내장 트랙패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 요약 맥북을 사용하는 유저 중에 마우스나 무선 트랙패드가 연결 됐을때 내장 트랙패드를 비활성화하고 싶은 유저가 있을 것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런 유저들을 위해 내장 트랙패드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아무런 장치가 연결 안되었을때도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없는걸로 알고 있으며, 혹시 아는 분이 있다면 알려주면 고맙겠다. ※ 설정 방법 먼저 설정->손쉬운 사용 항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좌측 메뉴에서 마우스와 트랙패드 항목을 선택한뒤 우측 옵션중 마우스 또는 무선 트랙패드가 있으면 내장 트랙패드 무시하기 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더보기
[맥os] 맥북에 외부 모니터 연결시 상세 해상도 설정하기 ※ 요약 필자는 맥북 에어에 2560x1440 해상도의 27인치 외부 모니터와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다. 근데 아래와 같이 2560x1440의 해상도는 없고 3840x2160의 해상도 같이 거대하거나 작은 해상도만 있는게 아니겠는가.. 27인치에 지원하지도 않는 3840x2160으로 사용하려니 화질도 구리고 눈도 아프고 글자도 안보이고, 여간 불편한게 아니었지만 내 모니터가 구형이라 그러려니 하고 몇 달을 사용하다 도저히 안되겠어서 방법을 찾아보니 의외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외부 모니터 해상도 설정 방법 먼저 설정을 실행한뒤 디스플레이 항목을 선택한다. 그럼 HDMI로 연결된 외부 모니터에 아래와 같은 창이 뜰텐데 option키를 누르면서 해상도 조절 라디오 버튼을.. 더보기
[맥os] 맥, 맥북 사용자 계정의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 ※ 요약 저마다 이유는 다르겠지만 맥이나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 사용자 계정의 이름을 변경하고 싶을때가 있다. 필자는 블로그에 포스팅하기 위해 이름을 바꿔봤다. 시덥잖은 이유지만 내용은 나름 알차니 즐감하기 바란다. ※ 변경 방법 먼저 시스템 환경 설정을 실행한뒤 사용자 및 그룹 항목을 클릭한다. 1번 화살표 영역에서 이름을 바꾸고자 하는 계정을 먼저 선택한뒤 2번 화살표안의 자물쇠를 눌러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을 해제한뒤에는 해당 계정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팝업 메뉴를 띄운뒤 고급 옵션 항목을 클릭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면 전체 이름에 원하는 이름을 넣고 승인 버튼을 누르면 된다. 여기서 간단히 설명하자면, 계정 이름은 로그인 아이디와 같은 개념이고 전체 이름은 계정(로그인 아이디)에 부여된 이름과 같.. 더보기
[맥os] 맥북 방문 사용자 추가 및 제거 방법 ※ 요약 필자는 맥북 에어를 사용중인데, 개인적인 사진이나 메모, 연락처, 그 밖에 아이폰과 연동된 사적인 데이터가 많아 남에게 빌려주기가 상당히 꺼려진다. 그럼에도 어쩔 수 없이 빌려줘야 할 경우(친척 동생이나 친구, 회사 사람 등등)가 생기는데 이럴때 방문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면 상당히 유용하다. 방문 사용자란, 말 그대로 노트북 주인이 아닌 방문 사용자를 위한 계정으로써 내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남에게 잠시 노트북을 빌려줄때 이용하면 좋다. ※ 방문 사용자 추가 방법 먼저 설정 앱을 실행한뒤 사용자 및 그룹 항목을 선택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뜰텐데, 변경하려면 자물쇠를 클릭하십시요. 항목을 클릭한뒤 암호를 입력하여 자물쇠를 푼다. 자물쇠가 걸려 있는 이유는 보안 때문이다. 자물쇠를 풀면 방문 사용자.. 더보기
[맥os] 시에라(Sierra) 업데이트 방법 및 지원 가능 기기 ※ 요약 현지 시간으로 20일, 애플이 맥os 시에라의 배포를 시작했다. 시에라 업데이트는 macOS Sierra 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시리를 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점이 큰 특징 중에 하나다. 그 밖에 특징으로는 맥os와 iOS 간의 작업 공간을 통합한 것과 애플워치를 맥에 가까이 가져가면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것 등이 있다. 필자는 현재 엘 캐피탄을 이용중인데, 초기 버전은 좀 불한정하고 버그도 있다하여 나중에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 시에라 업데이트 지원 기기 맥os 시에라는 맥북 2009 late 이상부터 지원된다. ※ 시에라 페이지 http://www.apple.com/kr/macos/sierra/?mnid=Q8GxdKy5_mtid_209259x040383&cid=wwa-kr-kw.. 더보기
[맥os] 파인더에서 폴더 크기 확인하는 방법 ※ 요약 파인더에서 폴더의 크기를 바로 확인하고 싶은데 아래와 같이 --으로 나와 바로바로 확인할 수가 없어서 불편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파인더에서 바로 폴더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설정 방법 파인더를 실행한 상태에서 메뉴->보기->보기 옵션을 클릭한다. 아래 창이 뜨면 모든 크기 계산 항목의 체크박스를 체크한다. 체크하면 아래와 같이 파인더에서 폴더의 크기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보기
[맥os] 사파리 시작 페이지(홈페이지) 설정하기 ※ 요약 맥os에 기본 탑재된 사파리의 시작 페이지(홈페이지)를 바꾸는 방법을 소개할까 한다. 어렵지 않으므로 금방 따라할 수 있을 것이다. ※ 시작 페이지 설정 방법 맥os에서 사파리를 실행하면 Dock에 Safari 버튼이 보이고, 이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팝업 메뉴 중 환경설정... 항목을 클릭한다. 일반 탭 내용중 홈페이지 항목에 원하는 시작 페이지 주소를 넣어주면 끝이다. 더보기
[맥os] 맥북 배터리 사이클 확인하기 ※ 요약 맥북의 배터리 사이클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배터리 사이클을 확인하는 이유는 보통, 배터리 수명이 어느 정도 남았는지 확인하는 것과 중고로 팔때 사이클이 적으면 조금 더 비싼 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확인하는 것이 그 이유다. ※ 배터리 사이클 확인 방법 확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좌상단의 애플 로고를 누른뒤 이 Mac에 관하여 항목을 클릭한다. 그런 다음 아래 창에서 시스템 리포트... 버튼을 누른다. 트리 메뉴에서 전원을 선택하면 우측 창에 상태 정보에 사이클 수가 나온다. 필자의 맥북 에어는 19회인데, 이 정도면 낮은 편에 속한다. 더보기
[맥os] 터미널(콘솔) 창 색상 테마 변경하기 ※ 요약 맥os의 터미널은 아래와 같이 밋밋한 색상이다. 터미널을 자주 사용하는 유저라면 색상을 변경하여 사용해보자. ※ 색상 변경 방법 먼저 터미널을 실행한뒤 클라이언트 영역을 마우스 우클릭하면 팝업 메뉴가 나오는데 속성 보기 항목을 클릭한다. 그럼 하기와 같이 속성 창이 뜨고, 선택할 수 있는 프로파일(테마) 목록이 나온다. 이제 아래 목록들 중에서 선택하면 된다. 아래는 Red Sands 테마다. 아래는 Solid Colors다. 비록 제한된 테마 내에서만 변경이 가능하지만 기본 테마 보다는 나을 것이다. ※ 관련 페이지 - [윈도우] 콘솔 색상 변경하여 개성있게 사용하기 - [C언어] 콘솔창에서 컬러 텍스트 출력 더보기
[맥os] 독(Dock) 크기 및 위치 변경 ※ 요약 맥os에는 Dock Bar가 있는데, 이 독 바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방법 시스템 환경설정 아이콘을 클릭한다. Dock 항목을 클릭한다. 아래 빨간 박스 안의 라디오 버튼에 따라 Dock의 위치가 바뀐다. 현재는 왼쪽에 위치하게 했다. 이번에는 하단에 위치하게 해 보았다. 디폹트 값은 하단이다. 이번에는 오른쪽이다. 원하는 위치에 놓고 사용하면 된다. 이번에는 Dock의 크기를 변경하는 메뉴에 대한 설명이다. 크기는 말 그대로 Dock의 크기이고, 확대는 마우스를 아이콘에 올렸을 때 확대되는 사이즈를 설정하는 메뉴다. 더보기
[맥os] 마우스 이동 속도 및 클릭 속도, 스크롤 속도 조절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 마우스 이동 속도(감도) 및 이중 클릭 속도, 스크롤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 먼저 시스템 환경설정을 클릭한다. 시스템 환경설정에서 마우스 항목을 클릭한다. 아래와 같이 이동 속도, 이중 클릭 속도, 스크롤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아래 설정 값들은 본인이 직접 값을 변경하면서 최적의 값을 찾는게 좋다. 더보기
[맥OS] 맥, 맥북 한영 전환 및 한자 입력 방법 ※ 요약 필자는 아이폰, 아이패드는 오랜 기간 사용해 왔지만 맥북은 올해 초에 처음 사용해봤다. 처음 사용이라 그런지 한영 전환 및 한자 입력 방법, 복사/붙여넣기 등 키 배열 및 키의 기능이 달라 새로 익혀야 하는 부분이 생각보다 많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한영 전환 방법 및 한자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나머지들은 차차 알아보도록 하겠다. ※ 단축키 한영 전환은 아래 표의 한영 전환1( control + space bar )로 하면 된다. 간혹 구 버전의 macOS에서는 한영 전환2( command + space bar )로 해야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 바란다. 항목 단축키 한영 전환1 control + space bar 한영 전환2 command + space bar 한자 입력 option + r.. 더보기
[맥OS] 맥, 맥북 배경화면 바꾸는 방법 ※ 요약 맥이나 맥북 등, 맥OS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배경화면을 바꾸는 방법이다. 바탕화면을 바꿀때는 기본으로 탑재된 이미지 중에서 바꾸는 방법과 자신이 선택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바꾸는 방법이 있다. ※ 배경화면 변경 방법 먼저 설정->데스크탑 및 화면 보호기로 이동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데스크탑 그림에는 기본 탑재된 바탕화면이 있어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배경화면이 바뀐다. 사용자가 찍은 사진이나 임의의 이미지로 하려면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된다. 더보기
[맥OS] 맥, 맥북 화면 캡쳐 방법 및 단축키 설명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의 캡쳐는 윈도우보다 더 간편하고 편리하며, 기능 또한 더 강력하다. 캡쳐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단축키를 이용하는 방법과 기본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이 그 두 가지인데, 이번 포스트에서 모두 소개하도록 하겠다. ※ 캡쳐시 저장되는 경로캡처된 이미지의 저장 경로는 로그인한 유저의 바탕화면(/Users/유저명/Desktop)이다. 저장되는 경로는 원하는 경로로 바꿀수 있는데, 필자는 그림 폴더로 변경하였고 나중에 변경 방법도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 단축키를 이용한 캡쳐 방법 필자는 주로 단축키를 이용하는 편이다. 단축키만 알면 순식간에 캡쳐를 할 수 있어서 빠르고 간편하기 때문이다. 아마 맥 유저 대부분이 단축키를 이용하여 캡쳐를 하지 않을까 싶다. 설명 단축키 전체 화면 캡쳐.. 더보기
[맥OS] ssh 원격 접속 방법 ※ 요약 맥OS에서 ssh 접속하는 방법이다. 맥OS에서의 ssh 접속 방법은 리눅스와 거의 동일한데, 그 이유는 둘 다 unix 기반이기 때문이다. ※ 접속 명령어 디폴트 포트 번호 : ssh 아이디@ip주소임의의 포트 번호 : ssh 아이디@ip주소 -p 포트번호 ※ 설명 먼저 맥os에서 터미널을 실행한다. 터미널이 어디있는지 모르겠으면 "런치패드(로켓 모양 아이콘) - 기타"에서 찾아보기 바란다. 상기의 접속 명령어에서 설명한 것처럼 아래의 형식으로 입력하면 된다. -p 옵션은 임의의 포트 번호로 접속할때 사용하는 옵션으로써, 포트 번호를 바꾸지 않은 디폴트 값(22번 포트)일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필자는 ip주소 175.126.xx.xxx에 접속할건데, 포트 번호는 22122이고 계정은.. 더보기
[osx] 사파리 다운로드 후 자동 실행 방지하기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 사파리로 일부 파일(동영상, 그림, 음악, PDF 등)을 다운로드를 하면, 다운로드 완료후 자동 실행이 된다. 이는 사파리 옵션 중 "다운로드 후 '안전한' 파일 열기" 기능이 켜져 있기 때문인데, 이 값을 바꿔주면 더 이상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 비활성화 방법 사파리를 실행후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일반탭으로 이동하여 다운로드 후 '안전한' 파일 열기 항목을 아래와 같이 체크 해제 한다. 이제 더 이상 자동 실행되지 않을 것이다. 더보기
[osx] 맥, 맥북에서 파일 이름 일괄 변경 ※ 요약 맥OS에서 파일 이름을 일괄 변경하는 방법이다. 이름을 일괄 변경할때는 "텍스트 대치", "텍스트 추가", "포맷(형식 지정)"의 옵션을 줄 수 있어서 윈도우보다 한결 편하게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 파일 이름 일괄 변경 방법 먼저 이름을 바꾸려는 파일들을 선택한다. 다중 파일을 선택할때는 "command"키를 누르면서 선택하면 된다. 파일을 선택했으면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팝업 메뉴를 띄운후, "n개 항목 이름 변경..."을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텍스트 대치", "텍스트 추가", "포맷"을 선택할수 있다. 아래는 테스트로 "포맷"을 지정하여 이름을 바꿔보았다. 사용자 설정 포맷을 캡쳐로 하였고 시작할 번호를 1로 하여 순차적으로 이름 뒤에 붙게 했다. 이번에는 "텍.. 더보기
[osx] 맥, 맥북 마우스 및 트랙패드 세팅 ※ 요약 필자는 맥북 에어를 사용하고 있고, 이것저것 테스트를 하다보면 초기화를 진행할때가 있다. 그럴때마다 세팅을 다시 해줘야 하는데 맥OS는 익숙치 않다보니 매번 헷갈려 블로그에 세팅을 보관도 해둘겸, 소개도 할겸 포스팅한다. ※ 마우스 세팅마우스 세팅에 대한 내용인데 "스크롤 방향: 자연스럽게" 말고는 특별할께 없다. "스크롤 방향: 자연스럽게"를 체크할 경우 일반 마우스를 사용하면 스크롤 방향이 역방향이 되지만, 맥북에서는 일반 마우스를 사용할 일이 별로 없고 트랙패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체크했다. ※ 트랙패드 세팅트랙패드는 딱히 설명할께 없다. 필자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 "추가 동작"탭만 사용자 필요에 따라 조금 수정해주면 될듯 싶다. 더보기
[osx] 맥, 맥북 한영 단축키 shift+space로 바꾸기 ※ 요약 필자는 7년 여전부터 윈도우에서 shift+space로 한영을 전환해 왔다. 이렇게 해놓으면 한영 전환시 흐름이 끊기지 않고 자연스레 한영 전환을 할 수 있고, 또 은근 편하다. 맥을 사용하면서도 shift+space를 이용해 전환하고 싶었고, 방법을 찾아 적용하여 한 달 정도 실사용 해보니 정말 편하다. 이번 포스트는 필자가 후에 맥북을 포맷 했을때 다시 적용하기 위해 정리해두기 위해 작성한다. ※ 적용 방법먼저 Finder를 실행시키고 단축키 "shift+command+G"키를 눌러 "폴더로 이동" 창을 띄운다. 이동할 경로에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를 입력하고 "이동" 버튼을 눌러 이동한다. 그럼 아래 화면과 같이 .. 더보기
[osx] 맥, 맥북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배포 했기 때문에 열 수 없습니다." 해결하기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 앱을 설치하려고 할때 아래와 같이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배포했기 때문에 열 수 없습니다."라면서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원인은 메시지 그대로 앱스토어에 등록(확인)된 개발자가 아닌 확인되지 않은 개발자가 만든 앱이라서 그렇다. ※ 해결 방법먼저 "시스템 환경 설정 -> 보안 및 개인 설정 보호"로 이동한다. 아래 화면처럼 자물쇠를 풀어주고 "다음에서 다운로드한 App 허용"의 "모든 곳"을 선택한 후 저장하고 설치하면 된다. 해당 앱을 설치한 후에는 보안을 위해 다시 "Mac App Store 및 확인된 개발자"로 바꿔주기를 권장한다. 더보기
[osx] 맥, 맥북 물음표 아이콘 원인 및 해결 방법 ※ 요약 맥이나 맥북을 사용하다보면 아래처럼 아이콘이 물음표로 될때가 있다. 윈도우로 치면 바로가기 아이콘의 대상이 사라진 것과 같은 것으로써, 필자의 경우 Microsoft Remote Desktop 앱을 업데이트하니 물음표 현상이 발생하였다. ※ 해결 방법우선 독(Dock)에서 대상을 잃은 아이콘을 제거 해준다. 다시 아이콘을 등록해주면 된다. 더보기
[OSX] 맥북 디스플레이(화면) 끄기 시간 조절 ※ 요약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 아무것도 안 할때 에너지 절약을 위해 화면이 꺼지는데, 초기 값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있어서 금방금방 화면이 꺼지는데, 은근 귀찮고 불편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디스플레이 끄기 시간을 조절하여 적당한 시간 동안 동작이 없을때 화면이 꺼지도록 세팅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 디스플레이 끄기 시간 조절먼저 "시스템 환경설정 -> 에너지 절약"으로 이동한다. "배터리 항목"에서 "디스플레이 끄기" 값을 자신에게 알맞는 값으로 조절한다. 더보기
[OSX] 맥, 맥북 디스크 용량 확인 방법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윈도우 기반 컴퓨터만 사용하다가 맥을 처음 사용하는 사람은 디스크 용량 확인 조차 쉽지가 않다. ※ 디스크 용량 확인 방법먼저 맥 시작 버튼을 눌러 팝업 메뉴를 띄운뒤, "이 Mac에 관하여" 항목을 클릭한다. 창이 하나 뜨는데 상단 중앙에 위치한 "저장 공간"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용량과 여유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OSX] 맥, 맥북 키보드 단축키 모음 ※ 요약 맥이나, 맥북에서 사용하는 단축키 모음이다. 윈도우와 키 배열도 다르고 키 기능도 달라 적응하기 힘들텐데, 아래 이미지 보면서 빠르게 익히기 바란다. 필자도 아래 표가 상당히 도움이 되어 윈도우에서 자주 사용하던 복사, 붙여넣기, 잘라내기, insert, home, end, PageUp, PageDown키 등은 이제 맥에서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또 이 포스트에는 기본적인 단축키만 올렸는데, 출처 사이트에 가보면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단축키들이 있으니 필요한게 있나 한 번 살펴보기 바란다. ※ 출처http://dashkards.com/ ※ 단축키 단축키들이 기호로 되어 있는데 이미지 하단에 기호에 해당하는 키 설명이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Mac OS X General Mac OS .. 더보기
[OSX] 맥북 프로그램 강제 종료 방법 ※ 요약 맥북을 사용하다보면 윈도우처럼 프로그램이 먹통이 될 때가 있다. 이럴때는 윈도우처럼 먹통이 된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하면 된다. ※ 강제 종료 방법 먼저 "command+option+esc"키를 눌러 "응용 프로그램 강제 종료" 창을 실행시킨다. 아래와 같이 창이 뜨면 해당 프로그램을 선택 후 "강제 종료"버튼을 누르면 된다. 아래는 "재실행"버튼이 보이는데, Finder가 선택되어서 "재실행"버튼이 보이는 것이다.(Finder는 종료할 수 없기 때문에) 더보기
[OSX] 맥북 대쉬보드 기능 비활성화 ※ 요약 맥북을 이리저리 살펴보니 대쉬보드가 있고 대쉬보드에 위젯부터 웹클립까지 이것저것 설정할 수 있는거 같은데 그다지 필요성을 못 느껴서 비활성화했고, 그 방법을 정리하고자 포스팅한다. ※ 비활성화 방법 "시스템 환경설정 -> Mission Control"로 이동한다. "Dashboard" 항목을 "끔"으로 하면 비활성화 된다. 더보기
[OSX] 맥북 한영 전환 방법 ※ 요약 필자는 주로 윈도우만 사용하다가 최근에 맥북 이벤트 당첨으로 인해 맥os를 사용하게 되었고, 처음이다 보니 한영 전환 방법이나 복사/붙여넣기, 인터넷 새로고침 등등 알아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많았는데, 포스팅을 통해 하나하나씩 정리하도록 하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맥북 한글 전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 ※ 한영 전환 방법한영 전환 방법은 "control키+space bar키"를 누르면 전환된다.(혹은 "Command키+space bar키") 필자는 나중에 "shift키+space bar키"로 바꾸려고 한다. 윈도우에서도 5년 넘게 "shift키+space bar키"를 사용해서 익숙해졌기 때문이다. ※ 설명 영어로만 입력되는 상태이고, 키보드 단축키 대신 우상단 시계 옆에 "A"아이콘을 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