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윈도우7이나 윈도우10은 아래와 같이 "숨겨진 아이콘 표시" 버튼을 눌러야 숨겨진 트레이 아이콘을 모두 볼 수 있는데, 필자는 버튼을 한 번 더 누르는게 번거롭고 트레이 아이콘을 굳이 숨겨야할 이유가 없어 모두 표시해놓는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숨겨진 트레이 아이콘을 모두 표시하는 방법을 작성하도록 하겠다. 윈도우7과 윈도우10의 설정 방법이 살짝 다르지만 큰 흐름은 같으므로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 모든 트레이 아이콘 표시 방법

작업 표시줄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메뉴 팝업을 띄운뒤, "속성" 버튼을 누른다.


아래와 같이 "작업 표시줄 및 시작 메뉴 속성" 창이 떴을테고, "사용자 지정" 버튼을 누른다.


아래 설정 창에서 "작업 표시줄에 표시되는 아이콘 선택" 항목을 클릭한다.


아래 빨간 네모 안에 스위치를 눌러 "켬" 상태로 하면 작업 완료다.


아래처럼 모든 트레이 아이콘이 표시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요약
리눅스 명령어 whoami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ID를 출력하는 명령어로써, id명령어에 -un 옵션을 준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 경로
/usr/bin/whoami


※ 사용법
whoami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help

 whoami 명령어 사용법 출력

 

 --version

 whoami 명령어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사용법은 간단하다. 아래는 whoami와 id -un이 같다는 걸 보여주는 예다.



당진에 위치한 손짜장 전문점 동춘옥에 다녀왔습니다.


겉에서 보면 그렇게 커 보이지 않는데, 실내에 들어서니 생각보다 규모가 큽니다.


짜장면 2개에 군만두를 주문했는데, 군만두가 먼저 나왔네요. 군만두는 평범합니다.


손짜장입니다. 수타면이라 그런지 면발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간간이 두꺼운 면발도 좀 있네요. 사실 전 수타면보다 일반 기계로 뽑은 면이 더 맛있는거 같습니다.


동춘옥 메뉴입니다.


이번엔 세트 메뉴입니다.


과자도 파네요.

동춘옥 위치는 충청남도 당진시 서해로 6294 손짜장동춘옥 이고, 전화번호는 041-355-0702입니다.


※ 요약
Visual Studio 15 Preview 버전이 2016년 3월 30일날 릴리즈 되었다. Visual Studio 2015는 14였으므로, 15는 Visual Studio 2016으로 예상해본다.
Visual Studio 2012을 시작으로 최신 버전 출시 기간이 상당히 짧아졌는데, 사용자 입장으로써 최신 버전이 나오면 기대가 되기도 하지만 너무 자주 나와 다른 한 편으론 부담이 되기도 한다.

※ 릴리스 정보 및 다운로드 페이지
https://www.visualstudio.com/ko-kr/news/releasenotes/vs15-relnotes


※ What's New
- Visual Studio Tools for Apache Cordova
- Visual Studio Tools for Universal Windows App Development
- Visual C++
- C# and Visual Basic
- XAML Diagnostics
- Visual Studio IDE
- Debugging and Diagnostics
- NuGet
- JavaScript
- Application Insights
- Team Explorer
- SQL Server Data Tools
- Office Developer Tools for Visual Studio

※ Other Changes

- Bug Fixes & Known Issues


※ Related Releases
- Visual Studio "15" Preview with new installer
- Azure SDK 2.9
- Microsoft .NET Framework 4.6.2 Preview - Web Installer) | Offline Installer


※ 요약
리눅스 명령어 who는 호스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who명령어는 현재 접속한 사용자 정보를 /var/run/utmp 파일에서 가져오며, 이 utmp파일은 사용자가 원격으로 서버에 호그인할 때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격 호스트에서 로그아웃할 때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제거한다.
who명령어는 현재 서버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의 로그인명, 터미널, 로그인 시간, 원격 호스트 또는 X디스플레이를 출력한다

※ 경로
/usr/bin/who

※ 사용법
who [옵션]... [파일\ 인수1 인수2]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a

 --all

 -b -d --loing -p -r -t -T -u 옵션과 동일

 -b

 --boot

 마지막 시스템 부팅 시간을 출력

 -d

 --dead

 죽은 프로세스를 출력

 -H

 --heading

 열의 헤더를 출력

 

 --ips

 호스트명 대신 ips를 출력

 -l

 --login

 시스템 로그인 프로세스를 출력

 

 --lookup

 DNS를 통해 호스트 명을 일반화 시킴

 -m

 

 호스트 명과 사용자만 출력

 -p

 --process

 init에서 상속한 액티브 프로세스를 출력

 -q

 --count

 로그인한 사용자와 사용자 수를 모두 출력

 -r

 --runlevel

 현재의 런레벨을 출력

 -s

 --short

 이름, 행, 시간 정보만 출력

 -t

 --time

 마지막으로 변경한 시스템 시간을 출력

 -T, -w, -mesg

 

 사용자의 메시지 상태를 +나 -, ?로 출력

 + : write 메시지 허가

 - : write 메시지 불허

 ? : 터미널 장치를 찾을 수 없음

 

 --message

 -T와 동일

 

 --writable

 -T와 동일

 

 --help

 who 명령어 사용법 출력

 

 --version

 who 명령어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who명령어를 입력해봤다. 필자는 VMware에 혼자 사용하는 거라 하나 밖에 안나온다.


각 종 옵션을 주고 사용한 모습


who에 am i를 붙이면 로그인 이름, 로그인한 터미널, 로그인한 시간을 출력한다.




※ 요약

윈도우10에서는 아래와 같이 탐색기에 드라이브가 중복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중복으로 표시되는 이유는 윈도우가 설치된 C드라이브를 제외한 나머지 드라이브들은 제거 가능한 드라이브들로 잡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를 레지스트리를 건드림으로써 중복으로 표시되는 문제를 해결했다.



※ 적용 후

"탐색기 드라이브 제거.reg"를 실행하여 적용하면 아래처럼 바로 중복된 드라이브들이 사라진다.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간혹 다시 나타나기도 하는데, 그 때 다시 레지를 적용하면 된다.

 
※ 탐색기 드라이브 제거 내용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Desktop\NameSpace\DelegateFolders\{F5FB2C77-0E2F-4A16-A381-3E560C68BC83}]

※ 탐색기 드라이브 복원 내용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Desktop\NameSpace\DelegateFolders\{F5FB2C77-0E2F-4A16-A381-3E560C68BC83}]

@="Removable Drives"




※ 요약
2016년 3월 30일에 Visual Studio 2015 업데이트2가 발표되었다. 비주얼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서비스 팩이나 업데이트를 꼭 설치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각 종 버그 및 에러, 이슈 사항들을 수정했을 뿐만 아니라 편의기능 향상, 새로운 문법 등이 추가 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운로드 할 때는 "웹 설치 관리자"를 다운로드 하는 것 보다는 ISO 파일을 다운로드 하기를 권장한다.

※ What's New
- Visual Studio Tools for Apache Cordova
- Visual Studio Tools for Universal Windows App Development
- Visual C++
- C# and Visual Basic
- .NET Framework 4.6.1
- Visual Studio IDE
- NuGet
- TypeScript
- Developer Analytics Tools
- Team Explorer
- SQL Server Data Tools
- Python Tools for Visual Studio
- Miscellaneous

※ Other Changes

- Performance & Reliability

- Bug Fixes & Known Issues


※ Related Releases
- Azure SDK 2.9

- Agents for Visual Studio 2015 with Update 2

- Microsoft Build Tools 2015 Update 2

- Microsoft Visual C++ 2015 Redistributable Update 2

- Remote Tools for Visual Studio 2015 Update 2

- Modeling SDK for Visual Studio 2015 Update 2





※ 요약
필자는 7년 여전부터 윈도우에서 shift+space로 한영을 전환해 왔다. 이렇게 해놓으면 한영 전환시 흐름이 끊기지 않고 자연스레 한영 전환을 할 수 있고, 또 은근 편하다. 맥을 사용하면서도 shift+space를 이용해 전환하고 싶었고, 방법을 찾아 적용하여 한 달 정도 실사용 해보니 정말 편하다. 이번 포스트는 필자가 후에 맥북을 포맷 했을때 다시 적용하기 위해 정리해두기 위해 작성한다.

※ 적용 방법

먼저 Finder를 실행시키고 단축키 "shift+command+G"키를 눌러 "폴더로 이동" 창을 띄운다.

이동할 경로에 "~/Library/Preferences/com.apple.symbolichotkeys.plist"를 입력하고 "이동" 버튼을 눌러 이동한다.


그럼 아래 화면과 같이 해당 위치로 이동된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는 아래 선택된 파일을 수정 할 것이다.


아래 파일을 열 것인데, Xcode나 TextWrangler로 열면 된다. Xcode는 용량이 매우 크므로 Xcode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독자는 TextWrangler를 설치하여 진해하는 걸 추천한다. 필자는 Xcode가 설치되어 있어서 Xcode로 진행하도록 하겠다.



아래는 Xcode로 파일 연 화면이다.

"AppleSymbolicHotKeys -> 61 -> value -> parameters -> item 2"를 찾아 786,432를 131,072로 바꾸면 된다. 이 때 맥os 버전에 따라 786,432는 다른 값일 수도 있으므로 참고 바란다. 또 TextWrangler는 Xcode와 수정 화면이 조금 다르지만 같은 값을 바꾼다는 점은 같으므로 이 점에 유의하면서 값을 변경하면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아래는 131,072로 바꾼 화면이다. 값을 바꾸고 재부팅을 해주면 한영 전환 단축키가 쉬프트+스페이스로 바껴 있을 것이다.



웹상에서 대출이자, 연봉 실수령액, 예금/적금 이자, 퇴직금, 4대 보험, 비만도를 편하게 계산할 수 있는 편리한 계산기이다.

필자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한 번 접속해보면 단 번에 알 수 있을 것이다.


주소는 http://calc.funstory.biz/index.php 이고 필자도 즐겨찾기 해둘겸 포스팅한다.





저는 중국요리를 좋아하는 편이라 주말이나 친구를 만나면 중국집에 가는 편입니다. 이번에 간 곳은 서산 호수공원에 위치한 레드창입니다. 레드창은 3번 정도 방문했었는데, 탕수육이 맛있었던걸로 기억납니다.


아래는 밑반찬입니다. 중국집은 거의 다 비슷비슷하죠 ㅎㅎ


메뉴는 짜장, 짬뽕, 군만두를 시켰는데 군만두가 먼저 나왔습니다. 군만두는 사실 어느 집이나 비슷비슷하죠. 무난한 군만두였습니다.


제가 먹은 짜장입니다. 살짝 달달하니 괜찮네요. 제 기준에서 맛있는 편입니다.


짬뽕도 조금 맛봤는데.. 짬뽕은 좀 평범하고 무난합니다. 짬뽕은 짬뽕지존이 조금 더 낫고, 짜장은 레드창이 더 낫습니다!

주소는 충청남도 서산시 예천동 1269-3이며 아래는 네이버 지도에서 캡쳐한 위치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