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아이폰 저전력 모드란 iOS9부터 추가된 기능이며, 각종 시각 효과들과 백그라운드 앱 새로고침, 자동 다운로드, 화면 잠금 시간 단축 등 필수가 아닌 기능들을 축소하거나 비활성화하여 아이폰의 배터리 시간을 늘리는 기능이다. 내장 배터리를 사용하는 아이폰에게는 유용한 기능 중에 하나이며 저전력 모드를 활성화하면 아이폰을 기준으로 배터리가 20%미만일때 자동으로 동작한다. 사용자가 원할 시에는 배터리가 100%여도 저전력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로 돌입하게 되면 배터리가 노란색으로 변하는게 특징이다. 성능 상에 불이익은 없으므로 활성화하는 걸 추천한다.


※ 저전력 모드 설정하는 방법

설정->배터리 항목으로 이동한다.



빨간 박스 안(저전력 모드)의 스위치를 On으로 바꾸면 저전력 모드가 활성화된다. 만약 활성화가 안된다면 아래 배터리 잔량 표시(%) 옵션도 활성화하고 시도해보길 바란다.



※ 요약

파인더에서 폴더의 크기를 바로 확인하고 싶은데 아래와 같이 --으로 나와 바로바로 확인할 수가 없어서 불편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파인더에서 바로 폴더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설정 방법

파인더를 실행한 상태에서 메뉴->보기->보기 옵션을 클릭한다.



아래 창이 뜨면 모든 크기 계산 항목의 체크박스를 체크한다.


체크하면 아래와 같이 파인더에서 폴더의 크기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 요약

iOS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음악 EQ(Equalizer)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기본 음악 앱을 사용할때 적용되는 팁이며, 비록 그래프를 직접 설정할 수는 없으므로 정해진 값 내에서 원하는 값을 찾도록 해보자.


※ EQ 설정 방법

설정을 실행하면 중간쯤에 음악(Music) 항목이 있다. 이 항목을 탭 하자.



아래로 내리면 EQ 항목이 있다. 탭 한다.


아래 EQ 목록들 중 원하는 값을 선택하면 EQ 설정이 변경된다. 직접 그래프를 수정하고 싶다면 EQ수정을 지원하는 음악 앱을 따로 설치하여야 한다.


※ 요약

16년 9월 16일. 아이폰7이 1차 출시국에 출시되었다. 이에 한국에서 직구를 하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데 리퍼와 관련해 주의할 사항이 있어 알려드리고자 포스팅한다. 한국에서 출시될 아이폰7 모델은 A1778로, 아이폰7 플러스는 A1784로 확정이 되었다. 고로 한국에서 리퍼 가능한 모델은 저 두 모델이며 그 이외의 모델은 한국에서 리퍼가 안되니 주의하기 바란다. 참고로 중국, 일본, 홍콩의 아이폰7 모델들은 모델이 달라 국내 리퍼가 힘들 것 같다고 한다. 참고로 필자는 16년 10월 21일 한국 정발 버전의 아이폰7 16g 로즈골드 버전을 구입하였다.

※ 국내에서 리퍼 가능한 모델을 구매할 수 있는 국가와 통신사 리스트

아래 리스트는 국내에서 리퍼 가능한 모델을 파는 곳의 국가와 통신사 목록이다. 아래 목록을 너무 맹신하지는 말고 참고용으로 사용하기 바란다.


미국

1.AT&T

2.T-Mobile


안도라

1.Andorra Telecom


호주

1.Optus

2.Telstra

3.Vodafone


오스트리아

1.3

2.A1

3.T-Mobile


바레인

1.Batelco

2.Viva

3.Zain


벨기에

1.Base

2.Mobistar

3.Proximus

4.Telent


불가리아

1.Telenor


캐나다

1.Bell

2.eastlink

3.MTS

4.Rogers

5.SaskTel

6.Tbaytel

7.Telus

8.Videotron


크로아티아

1.Hrvatski Telecom


키프로스

1.Cyta

2.MTN

3.PrimeTel


체코 공화국

1.O2

2.T-Mobile

3.Vodafone


덴마크

1.3

2.TDC

3.Telenor

4.Telia


에스토니아

1.Elisa

2.Sonera

3.Tele2


핀란드

1.DNA

2.Elisa

3.Sonera


프랑스

1.Bouygues

2.Free

3.NRJ

4.Orange

5.SFR

6.Virgin


독일

1.1&1

2.Deutsche Telekom

3.O2

4.Vodafone


그리스

1.Cosmote

2.Vodafone

3.WIND


그린란드

1.TELE Greenland


헝가리

1.Telekom

2.Telenor

3.Vodafone


아이슬란드

1.Nova

2.Simmin

3.Vodafone



아일랜드

1.3

2.Meteor

3.Vodafone


영국령 맨섬

1.Manx Telecom

2.Sure


이탈리아

1.3

2.TIM

3.Vodafone


코소보

1.Telekom Slovenije


쿠웨이트

1.Ooredoo

2.Viva

3.Zain


라트비아

1.LMT

2.Tele2


리히텐슈타인

1.Salt


리투아니아

1.Omnitel

2.Tele2


룩셈부르크

1.Orange

2.Post

3.Tango


몰디브

1.Dhiraagu

2.Ooredoo


말타

1.Vodafone


멕시코

1.AT&T

2.Movistar

3.Telcel


모나코

1.Monaco Telecom


네덜란드

1.KPN

2.T-Mobile

3.Tele2

4.Vodafone


노르웨이

1.Telenor

2.Telia


폴란드

1.Orange

2.Play

3.T-Mobile


포르투갈

1.MEO

2.NOS

3.Vodafone


푸에르토 리코

1.AT&T


카타르

1.Ooredoo

2.Vodafone


루마니아

1.Orange

2.Telekom

3.Vodafone


러시아

1.Beeline

2.Megafon

3.Yota


사우디아라비아

1.Mobily

2.STC

3.Zain


싱가폴

1.M1

2.Singtel

3.Starhub


슬로바키아

1.Telekom


슬로베니아

1.Telekom Slovenije


스페인

1.Movistar

2.Orange

3.Vodafone

4.Yoigo


스웨덴

1.3

2.Tele2

3.Telenor

4.Telia


스위스

1.Salt

2.Sunrise

3.Swisscom


대만

1.APT

2.Chunghwa Telecom

3.FarEasTone

4.Taiwan Mobile

5.Taiwan Star


아랍에미리트

1.du

2.Etisalat


영국

1.3

2.Everything,Everywhere

3.O2

4.Vodafone


※ 출처



※ 요약

일본에서 만든 지진시 행동 요령 pdf 자료다. 일본에서 만든거다보니 일본(도쿄) 기준으로 작성된 것들이 많으나 내용이 상당히 알차고 도움되는 것이 많아 소개하고자 한다. 분량은 340 페이지에 이르며 그림이 대부분이라 보기 편하고 한국어로 번역이 되어 있다. 게재 정보는 2015년 6월 기준이며 도쿄도 총무국 종합재부 방재관리과에서 편집, 발행한 자료다. pdf 파일이므로 내용을 보려면 pdf 뷰어가 필요한데 pdf 뷰어가 없다면 필자가 추천하는 Sumatra PDF 뷰어를 사용해보자. 가볍고 빠르며 무설치에 무료다. 참고로 국민안전처에서 만든 지진 시 행동요령도 링크 걸어두니 비교하면서 보면 좋겠다. 국민안전처에서 만든건 그림보다 글이 많으며 그림도 작고 화질도 안좋아 보기엔 별로다.


※ 다운로드

pdf 파일 용량은 22메가다. 티스토리는 각 파일당 10메가 밖에 허용을 안하므로 부득이하게 분할 압축하였다. 고로 아래 3개 파일을 모두 다운로드 한 뒤 압축을 풀면 된다.


※ 간단 소개

책의 일부 내용을 발췌해봤다. 대충 봐도 상당히 도움이 될 거라는게 느껴질 것이다.




지진 발생 직후 행동이다. 필자는 휴대폰 메모장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두어 지진 발생시 덜 당황할 수 있게 하였다.


아래는 집 안에 있을때 행동 요령이다. 


아래는 자동차를 타고 있는 상황에서 지진이 났을때 행동 요령이다. 고속도로나 교량, 터널 등을 이용할때 도움이 될 것이다.




※ 요약

Vim이 10여년 만에 8.0 버전으로 메이저 업데이트가 되었다. MS 윈도우는 물론 MS_DOS, UNIX, Linux, Amiga, OS/2, 맥os 등의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32비트와 64비트 모두 지원한다.


※ 다운로드 링크


※ Among the new features are :

- Asynchronous I/O support, channels, JSON 

- Jobs 

- Timers 

- Partials, Lambdas and Closures 

- Packages 

- New style testing 

- Viminfo merged by timestamp 

- GTK+ 3 support 

- MS-Windows DirectX support


※ 다운로드 방법

먼저 다운로드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한다. 대부분의 독자들도 그렇겠지만 필자는 윈도우를 선택하였다.



여기서 또 원하는 버전을 선택한다. 설치 버전, 무설치 버전, 런타임 파일들 등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 많은데 필자는 아래와 같이 무설치 버전을 다운로드 받았다.


아래는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후 실행하 모습이다. 무설치 버전이라 그냥 실행하면 된다.



※ 요약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의 사파리 브라우저로 인터넷을 하다가 실수로 탭을 닫거나 닫은 탭을 다시 열고 싶을 때가 있을 것이다. 필자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경우가 있어서 찾아보니 닫은 탭을 다시 여는 방법이 있어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닫은 탭 다시 여는 방법

아래와 같이 지진 관련 게시물을 보고 있는데 습관적으로 탭을 닫았다.


이럴때는 우하단의 빨간 네모 박스 안에 있는 아이콘을 누른다.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빨간 네모 박스 안의 + 버튼을 2~3초 정도 누르고 있는다.


그럼 아래와 같이 최근 닫은 탭 목록이 나오고 여기서 원하는 탭을 선택하면 해당 탭이 다시 열린다. 필자가 이 방법을 몰랐을때는 다시 같은 페이지를 찾느라 고생했는데 요즘엔 시간을 많이 아낄 수 있어 좋다.




※ 요약

2016년 9월 12일 19시 44분 쯤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났다. 50여분 후 같은 곳에서 규모 5.8 여진이 일어났고... 필자는 이때 퇴근하여 샤워후 알몸으로 쉬고 있는 중이었는데 지진 때문에 깜짝 놀라 밖으로 뛰쳐나왔다. 지진이 나니 머리가 하얘지더라, 급한대로 티랑 바지만 입고 휴대폰만 챙겨 나왔다. 팬티도 못입고.. 빌어쳐먹을 재난문자는 왜 안오는지, 또 카톡은 왜 안되던지... 생명의 위협을 느낀터라 가족과 지인들에게 연락이 안되니 화가 나고 무섭기도 했다. 혹시 내가 재난 문자를 꺼둔걸까? 라고 생각하며 확인해보니 재난문자도 수신으로 되어 있었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별로 도움이 안되는 재난 문자 방송이지만 아이폰에서 수신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무튼 지진과는 거리가 먼 한국이라지만 규모 5.9에 아래와 같이 밑천 드러난거 같아 화가난다.




※ 재난 문자 방송 수신 설정 방법

먼저 아이폰 설정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알림 항목을 탭한다.



알림 항목에서 맨 밑으로 내려가면 재난 문자 방송 수신 설정을 할 수가 있다. 오늘 지진에 대한 재난 문자는 오지는 않지만 다음 번 지진에는 혹시 올까싶은 마음에 On으로 설정하였다.




※ 요약

ipTime 공유기에 로그인시 캡차 코드(Captcha Code)를 추가로 입력하여 보안을 조금이라도 강화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캡차 코드는 사람은 구분할 수 있고 봇은 구분할 수 없는 문자를 제시하여 패스워드 무차별 대입 공격으로 부터 보안을 높이는 방법 등으로 활용된다.


※ 적용 방법

적용하려는 ipTime 공유기에 접속한뒤 로그인한다. 보면 알겠지만 로그인시 아이디와 패스워드만 입력하면 로그인이 된다.



로그인한뒤 고급 설정->시스템 관리->관리자 설정으로 이동, 로그인 인증 방법 설정 항목을 아래와 같이 설정하고 적용 버튼을 눌러 완료하면 된다. 이때 미사용시 자동 로그아웃의 시간은 원하는대로 바꿔주면 된다. 필자는 5분으로 하였는데 보통 15분 정도로 하면 좋다.


적용후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하도록 바뀐 화면을 볼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하면 로그인시 더 번거롭고 시간이 더 걸리지만 보다 더 안전해진다.



※ 요약

맥os에 기본 탑재된 사파리의 시작 페이지(홈페이지)를 바꾸는 방법을 소개할까 한다. 어렵지 않으므로 금방 따라할 수 있을 것이다.


※ 시작 페이지 설정 방법

맥os에서 사파리를 실행하면 Dock에 Safari 버튼이 보이고, 이 버튼을 클릭하면 나오는 팝업 메뉴 중 환경설정... 항목을 클릭한다.



일반 탭 내용중 홈페이지 항목에 원하는 시작 페이지 주소를 넣어주면 끝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