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이번에 소개하려는 바이러스 토탈은 다양한 백신 엔진들로 파일이나 사이트를 검사해주는 사이트다. 충돌이나 오류, 호환성 때문에 보통 하나의 PC에는 하나의 백신이 설치되기 마련인데, 이 바이러스 토탈은 50~60여개의 백신 엔진으로 파일이나 사이트를 검사해주므로 보다 신뢰성 높은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장단점

- 장점

다양한 백신 엔진들로 검사해준다.

파일 검사 및 특정 사이트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 단점

파일 검사시 파일을 업로드 해야한다. 고로 업로드 하는 시간 때문에 검사 속도가 느려지고 파일을 업로드 해야하므로 찝찝하다.

파일 검사시 용량 제한(128MB)이 있다.


※ 사이트 주소


※ 파일 검사 방법

사이트에 접속한 화면이다. Choose File 버튼을 눌러 파일을 선택한뒤 Scan It 버튼을 누르면 검사가 진행된다.


아래는 검사 결과다. 필자는 png 이미지 파일을 검사해봤는데 54개의 백신 엔진들 모두 바이러스 및 위험요소가 없다고 나왔다. 즉 안전한 파일이라는 얘기다.



※ 사이트 검사 방법

URL 탭을 선택한뒤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한뒤 Scan it 버튼을 누르면 파일과 마찬가지로 검사가 진행된다. 아래는 필자의 블로그 주소인 http://shaeod.tistory.com/를 입력한 화면인데 13년 12월 28일 새벽 3시에 검사한 결과가 있는데 또 검사할거냐고 묻는거다. 당연히 재분석을 요청했다.


이번에는 68개의 엔진들로 필자의 블로그를 분석했지만 깨끗한 사이트라고 검사 결과가 나왔다.


※ 백신 목록

아래 목록이 모든 백신의 목록은 아니다.

ALYac

AVG

AVware

Ad-Aware

AegisLab

AhnLab-V3

Alibaba

Antiy-AVL

Arcabit

Avast

Avira (no cloud)

Baidu

BitDefender

Bkav

CAT-QuickHeal

CMC

ClamAV

Comodo

CrowdStrike Falcon (ML)

Cyren

DrWeb

ESET-NOD32

Emsisoft

F-Prot

F-Secure

Fortinet

GData

Ikarus

Invincea

Jiangmin

K7AntiVirus

K7GW

Kaspersky

Kingsoft

Malwarebytes

McAfee

McAfee-GW-Edition

eScan

Microsoft

NANO-Antivirus

Panda

Qihoo-360

Rising

SUPERAntiSpyware

Sophos

Symantec

Tencent

TheHacker

TrendMicro

TrendMicro-HouseCall

VBA32

VIPRE

ViRobot

Yandex

Zillya

Zoner

nProtect


※ 요약

요즘 스마트폰이나 DSLR로 사진을 많이들 찍을텐데, 무심코 찍는 사진에는 엄청나게 많은 정보가 남는다. 카메라와 사진에 대한 정보(카메라 기종, 찍은 시간, 노출, ISO, 셔터 속도, 렌즈 정보 등)는 물론 내가 사진 찍은 곳의 위치까지 다 사진 속에 남는데, 본인이 집에서 찍은 사진을 커뮤니티 사이트나 블로그 등에 올리면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사는 곳을 광고하는 꼴이 된다. 사진에 남는 이러한 부가 정보를 EXIF라고 하는데 EXIF Eraser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EXIF 정보를 지우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 정보는 GPS 기능이 있는 카메라(DSLR, 미러리스)이나 스마트폰에만 남으며 설정을 통해 위치 정보는 안 남길 수 있게 설정할 수 있다. 또 커뮤니티나 블로그 등에 사진을 올릴때 자동으로 정보를 제거해주는 사이트도 있다.


※ EXIF란

사진의 화상 데이터(이미지)와 함께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 조리개 수치, 렌즈 초점 길이, GPS 정보 등 이미지 파일 안에 저장되어 있는 세부적인 부가정보


※ 파일 다운로드

exiferaser32.zip

exiferaser64.zip


만든 회사의 사이트는 접속이 안되는 걸로 보아 망한거 같다. 상기 파일들은 1.1버전으로써 현재 기준 최신버전이고 윈도우10에서는 동작하는 걸 확인하였다.



※ 설명

필자가 정보를 지울 사진들은 바탕화면에 사진이라는 폴더에 들어있다.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Select 버튼을 누른다.


사진이 들어 있는 폴더를 선택한다.

선택한 경로가 에디터 박스에 입력된걸 볼 수 있고 Eraser 버튼을 누르면 사진에 담긴 정보가 삭제되는데, 이때 옵션을 설정할 수가 있다.

- Eraser in subdirectories : 하위 폴더에 들어있는 사진들의 정보도 삭제.

- Backup original files : 원본 사진을 백업


이제 Eraser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진행 결과가 출력된다.


※ 관련 페이지




※ 요약

이번 포스트에서는 시작 프로그램 관리에 대한 방법을 알아볼 텐데, 시작 프로그램을 관리하면 좋은 점은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과 내가 설치하지 않은 악의적인 프로그램이 시작되는걸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1~2개 비활성화 해서는 부팅 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5개 혹은 10개 이상 비활성화 한다면 차이가 좀 날 것이다.


※ 시작 프로그램 관리 방법

먼저 작업 관리자를 실행한다.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는 단축키는 Ctrl+Shift+ESC 다.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면 시작 프로그램 탭으로 이동한뒤 시작 프로그램 목록 중에서 사용 안하는 프로그램을 마우스 우클릭한뒤 사용 안 함을 선택해주면 된다. 이때 자신이 설치 안 한 프로그램이나 의심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도 한 번 확인해보자. 



위에서 비활성화 한 NVIDIA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비활성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이상한 프로그램 2개를 제거했다.




※ 요약

시스코(Cisco)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용어 사전이다. 단어를 찾기 쉽게 A부터 Z까지 분류하였으므로 원하는 용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설명

아래는 사이트에 접속한 화면이다. 중앙 상단에 A부터 Z까지 있으므로 원하는 용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요약

필자는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로 인터넷을 할 때 사파리를 이용하는데 가끔 여러개 열린 탭을 모두 닫아야 할 일이 있다. 열린 탭이 2~3개 라면 하나하나 닫아도 별 상관없지만 10개, 혹은 그 이상이라면 이것도 일. 이번 포스트에서는 열린 탭을 한꺼번에 모두 닫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열린 탭 한 번에 모두 닫는 방법

아래는 사파리의 화면이다. 좌하단에 빨간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의 아이콘을 1초 이상 누르고 있도록 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메뉴가 뜨는데 Close n Tabs를 눌르면 열린 탭이 모두 닫힌다. 자주 사용할 만큼 유용한 팁은 아니지만 알아두면 가끔 요긴하게 사용된다.



※ 요약

모바일 기기가 많아 짐에 따라 블로거들 사이에서 반응형 스킨이 인기다. 필자도 반응형 스킨으로 교체한지 얼마 안되었는데 문득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에서 필자의 블로그가 잘 나오는지, 잘 나온다면 어떤 모습으로 나오는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찾게된 사이트가 다음 트로이라는 사이트인데, 애플과 삼성은 물론이고 팬텍, HTC, 소니, 샤오미, 화웨이, ZTE 등 많은 회사들의 다양한 기기들에서 자신의 블로그가 어떻게 보여지는지 알 수 있다. 단점으로는 최신 기기는 아직 목록에 없다는 것 정도. 


※ 사이트 링크


※ 사용 방법

사용법은 간단하다. 중앙 상단에 자신의 블로그나 사이트 주소를 넣고 좌측 리스트에서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면 된다.



아래는 갤럭시 노트4와 아이폰6로 필자의 블로그를 본 모습이다. 아래 가상 기기 내에서 링크 등의 클릭도 가능하니 자신이 작성한 글이 어떤 모습으로 보이는지도 확인해보자. 포스트를 작성할때 어떤식으로 최적화해야할지 알 수 있게되어 도움이 될 것이다.



※ 요약

좌측 이미지는 윈도우7의 CPU 사용 현황 그래프고, 우측은 윈도우10의 CPU 이용률 그래프다. 윈도우7의 작업 관리자는 CPU의 코어 개수에 맞게 그래프가 나오는 반면 윈도우10은 코어 개수에 상관없이 그래프가 하나만 나오는 걸 볼 수가 있는데, 윈도우10을 사용하는 필자는 그래프가 하나만 나와 불만이었다. 그러다 설정을 통해 윈도우10도 코어 개수에 맞게 그래프가 나오게 하는 방법을 찾았고, 그 방법을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설정 방법

먼저 작업 관리자를 실행한뒤 성능 탭으로 이동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일텐데, 그래프를 우클릭한뒤 아래 화면처럼 논리 프로세서를 선택한다.



자, 보면 코어 개수대로 그래프가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 요약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생각보다 많은 이미지가 필요하다는 걸 느끼게 된다. 물론 이미지야 인터넷에 널리고 널렸지만 아무 이미지나 사용하다보면 저작권 때문에 낭패를 볼 수 있어 함부로 사용할 수 없는 상황.. 이럴때는 구글 이미지 검색에서 사용 권한을 옵션으로 줘서 무료 이미지만 검색하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저작권 걱정 없는 무료 이미지 모음 사이트에서 이미지를 구하는 방법이 있으니 궁금하면 링크로 이동해 보기 바란다.


※ 저작권 걱정 없는 이미지 구하는 방법

아래는 필자가 구글 이미지 검색에 키워드를 카메라로 하여 검색한 화면이다. 이중 어떤 이미지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옵션을 조정해보자.



옵션을 조정하려면 아래와 같이 검색 도구 버튼을 눌러 수정 후 재사용 가능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아래 검색된 이미지들이 저작권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들이다. 다만 아래 옵션을 주면 검색 결과가 줄어드니 마음에 드는 이미지 개수가 줄어드는 건 어쩔 수 없다. 




※ 요약

필자는 지도를 자주 보고 사용하는 편이다. 지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업무(국방, 대중교통)를 진행하였기도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도 약속 장소를 검색하거나 가보고 싶은 곳을 검색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지도를 사용하다보면 유용한 기능들이 있기 마련인데, 이번 포스트에서는 네이버 지도에서 원하는 곳의 면적을 잴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네이버 지도 링크


※ 면적 재는 방법

먼저 네이버 지도에 접속하여 아래 캡쳐 이미지에 빨간 화살표가 가르키는 곳을 클릭하여 면적 재기 기능을 선택한다. 면적 재기 기능의 아이콘은 아래와 같다.



해당 기능을 선택하였으면 원하는 곳을 마우스 좌클릭을 하여 면적을 측정하면 된다. 글로 설명하기 애매하여 여기까지 설명하지만 방법이 직관적이라 한 번 해보면 금새 익힐 수 있을 것이다. 면적 선택을 마치는 방법은 이미지에 나와있는것처럼 마우스 우클릭이나 ESC키를 누르면 면적 선택을 종료할 수 있다. 필자가 임의로 여의도의 한 곳을 시험삼아 면적을 재보니 29.780m^2가 나왔다.




※ 요약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는 설정을 통해 앱 내 구입를 차단할 수 있다. 주로 아이를 가진 분들이나 친척 동생 등 본인 이외의 다른 사람이 자신의 핸드폰으로 게임 내 결제 등을 방지해야 할 때 유용하다. 혹은 본인도 앱 내 결제를 할 일이 없다면 차단해놓는것도 나쁘지 않다.


※ 앱 내 구입 차단 방법

먼저 설정 앱을 실행한다. 설정은 아래 빨간 박스처럼 톱니 모양의 아이콘이다.


이번에는 일반(General)을 탭한다.


일반에서 스크롤을 조금 내리다 보면 차단(Restrictions)이 있다. 탭 하도록 하자.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앱 내 구입(In-App Purchases)의 스위치를 Off로 하면 결제가 차단된다. 참고로 아래 이미지는 On이다. 스위치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야 Off가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