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명령어] access - 디렉토리나 파일의 존재 유무 및 권한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access는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지정한 디렉토리나 파일의 존재 유무 및 권한(읽기, 쓰기, 실행)을 확인하는 명령어로써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스크립트 안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 이 access는 C언어에도 있는 함수로써, C언어에서도 동일한 동작을 한다. ※ 경로 /usr/bin/access ※ 사용법 access [모드] [파일명] ※ 옵션 Long옵션 설명 --help access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access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 ※ 관련 페이지 - [C언어] 디렉토리 및 파일 존재 유무, 속성 검사 함수 - access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su - 다른 사용자 환경 사용 ※ 요약 리눅스 명령어 su는 로그아웃 없이 임시로 다른 사용자의 UID와 GID 환경을 사용하게 해주는 명령어다. 보통 보안 때문에 root 계정 대신 일반 계정으로 로그인한뒤 잠시 동안 슈퍼유저 권한의 명령어를 사용할때 사용하며, 사용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root 계정으로 실행된다. ※ 경로 /bin/su ※ 사용법 su [옵션] [사용자] [쉘 변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c COMMAND --command=COMMAND 상호 대화형 모드가 아닌 지정한 명령어(COMMAND)를 실행 -f --fast 시작 파일을 읽지 않고 실행. csh쉘과 tcsh쉘에만 해당함 -, -l --login 지정한 사용자 환경으로 변경 -m, -p --preserve-environment 이전의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uptime - 시스템 가동 시간 및 평균 부하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uptime은 시스템의 가동 시간과 현재 사용자 수, 평균 부하량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다. ※ 경로 /usr/bin/uptime ※ 사용법 uptime [옵션] ※ 옵션 옵션 설명 -V uptime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아래는 uptime 명령어의 사용예다. 시스템이 구동된지 125일이 되었고 1명의 유저가 사용중이며 평균 부하량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평균 부하량은 1, 4, 15분 시간을 기준으로 평균 사용량을 출력한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echo - 지정한 문자열 및 환경변수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echo는 주어진 문자열을, 문자열 사이에 포함된 공백과 줄 마지막에 개행문자를 포함하여 표준출력으로 출력하는 명령어다. ※ 경로 내부 명령어 ※ 사용법 echo [옵션]... [문자열]... ※ 옵션 옵션 설명 -n 마지막에 따라오는 개행 문자(newline) 문자를 출력하지 않음 -e 문자열에서 역슬래시(\)와 조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sequence)를 인용부호(")로 묶어 인식 ※ 이스케이프 문자 종류 및 내용 이스케이프 문자는 모니터나 프린터의 속성 등을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보내는 특수 문자열을 의미한다. 아래 이스페이프 문자들은 옵션 -e과 함께 사용한다. 이스케이프 문자 설명 \a 경고음 소리 출력 \b 백스페이스 \c 마지막 개행 문자를 출력 안 함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printenv - 환경 변수 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printenv는 print environment VARIABLE의 약자로써,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명령어 실행시 특정 환경 변수명을 지정하면 해당 환경 변수 값만 출력하고 환경 변수명 없이 명령어만 실행할 경우 시스템에 있는 모든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 경로 /usr/bin/printenv ※ 사용법 printenv [옵션]... [환경 변수명]... ※ 옵션 Long옵션 설명 --help printenv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printenv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아래는 printenv 명령어의 실행예다. ※ 관련 명령어 env : 환경 변수 보기 및 변경echo : 환경 변수 출력export : 환경 변수 확인 및 수정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env - 환경 변수 보기 및 변경 ※ 요약 리눅스 명령어 env는 현재 지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들을 출력하거나, 새로운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적용된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 경로 내부 명령어 ※ 사용법 env [옵션]... [name=값]... [명령 [인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i --ignore-environment 현재 환경을 무시하고 지정한 변수 값을 따름 -u --unset name 지정한 변수(name)를 제거 --help env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env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옵션 없이 env 명령어만 입력하여 변수 값만 출력해 보았다. ※ 관련 명령어 echo : 환경 변수 출력export : 환경 변수 확인 및 수정printenv : 환경 변수 보기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dir - 파일 및 디렉토리 내 목록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dir은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로써 ls 명령어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MS-DOS에도 있는 명령어라 MS-DOS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 경로 /usr/bin/dir ※ 사용법 dir [옵션]... [파일]... [옵션] : 생략 가능하고 여러개 사용가능[파일] : 생략 가능하고 여러개 지정가능 ※ 옵션옵션은 보통 (-)와 함께 입력하여 사용한다.그 밖에 LONG 옵션을 제공하는데, LONG 옵션은 보통 (--) 기호를 선행하여 사용한다. 옵션 Long 옵션 설명 -a --all .을 포함하여 경로 안의 모든 내용을 출력 -A --almost-all .과 ..을 제외한 모든 내용을 출력 -b --escape 알파벳 형식의 리스트를 출력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sof - 실행 중인 파일과 프로세스 정보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sof는 현재 사용중인 파일들의 목록과 함께 해당 파일의 소유자, 관련 프로세스, 크기, 타입 등의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다. ※ 경로 /usr/sbin/lsof ※ 사용법 lsof [옵션]... [파일]... ※ 옵션 옵션 설명 -a 파일을 선택하는데 AND 연산으로 대상을 출력 -c 지정한 COMMAND 필드만 출력 -F 지정한 구분자로 필드를 구분하여 출력 -g 지정한 그룹 아이디를 사용하는 관련 프로세스를 출력 -i 현재 사용되는 소켓 정보를 출력 -l 로그인 사용자명 대신에 UID를 출력 -n 호스트명 대신에 IP주소를 출력 -P 포트 서비스명 대신에 포트 번호를 출력 -r 지정한 초의 주기로 반복해서 출력 (디폴트 값은 15초) -s 파일의 크기를 출력 -V 보다 상..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file - 파일 종류 확인 및 정보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file은 파일의 종류 확인 및 파일 속성 값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주로 acsii나 text, date와 같은 파일 속성을 출력하는데, /usr/share/magic이나 /usr/lib/magic에 저장한 파일 정보를 참고하여 파일 속성을 출력한다. 필자 생각에 이 명령어는 중요도도 낮고 사용 빈도도 낮을거 같으므로 이런 명령어도 있구나 하고 넘어가면 될것이다. ※ 경로 /usr/bin/file ※ 사용법 file [옵션]... filename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b --brief 지정한 파일명은 출력하지 않고 파일의 유형만 출력 -f --file-from 파일목록 파일목록에서 지정한 파일들에 대해서만 명령을 실행 -i --mime MIME 타입 문자로 출..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ogger - 시스템 로그에 임의 메시지 기록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ogger는 /var/log/message 파일에 원하는 메시지(로그)를 기록할 수 있는 명령어다. 필자는 이 명령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거의 사용안하지만 습관적으로 사용하면 꽤 유용할거 같다. ※ 경로 /usr/bin/logger ※ 사용법 logger [옵션]... [메시지]... ※ 옵션 옵션 설명 -i 각각의 라인마다 logger의 프로세스 ID를 기록 -s 시스템 로그뿐만 아니라 표준 출력으로도 메시지를 기록 -f file 지정한 file에 로그를 기록 -p pri pri(우선순위)를 메시지와 함께 기록, 기본값은 user.notice -t tag tag를 각각의 라인마다 기록 (검색시 유용할듯 싶다.) ※ 사용예 아래는 logger 명령어 사용예인데, root 계정이 아..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astlog - 접속 로그 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astlog는 /var/log/lastlog 로그 파일의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다. 이 파일을 통해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 호스트명, 포트 등을 볼 수 있다. ※ 경로 /usr/bin/lastlog ※ 사용법 lastlog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t DAYS --time DAYS 지정한 날짜 단위(DAYS) 기간에 로그인한 정보만 출력 -u LOGIN --user LOGIN 지정한 로그인명(LOGIN)의 lastlog 정보만 출력 -h --help lastlog 명령어 사용법 출력 ※ 사용예 아래는 필자의 시스템에서 lastlog 명령어를 실행한 화면이다. 보면 알겠지만 root 계정 말고는 로그인한 적이 없다. -u 옵션으로 특정 계정의..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astb - 로그인 실패 로그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astb는 접속 실패 기록을 보여주는 명령어다. last 명령어가 로그인 기록과 재부팅 기록을 보기 위해 /var/log/wtmp 파일을 열람한다면, lastb는 /var/log/btmp 파일을 열람하여 실패 목록을 보여준다. lastb는 접속 실패를 기록하는 파일인 btmp 파일을 열람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last 명령어와 같다. ※ 경로 /usr/bin/lastb ※ 사용법 lastb [옵션]... [유저명]... [tty]... ※ 옵션 옵션 설명 -num num 만큼의 줄만 출력 -n num -num과 동일 -R hostname필드는 출력 안 함 -a 출력되는 목록에서 hostname 필드는 마지막에 출력 -d 다른 host에서 접속한 내용만 출력 -x shutdown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ast -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ast는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를 출력하는 명령어다. 로그 파일은 /var/log/wtmp 파일에 위치하며 시스템의 부팅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유저의 로그인과 로그아웃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 파일의 내용을 last 명령어가 보여준다. 참고로 lastb 명령어는 /var/log/btmp 로그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로써, 어느 파일을 오픈하는지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다고 보면 된다. 어렵지 않은 명령어이므로 금방 익힐 수 있으며 ※ 경로 /usr/bin/last ※ 사용법 last [옵션]... [유저명]... [tty]... ※ 옵션 옵션 설명 -num num 만큼의 줄만 출력 -n num -num과 동일 -R hostname필드는 출력 안 함 -a 출력되는 목록에서 hos..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pstree - 프로세스 트리를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pstree는 프로세스의 상관관계(부모-자식 관계)를 트리 형태로 출력해주는 명령어로써, 관계를 트리 형태로 출력해주므로 계층 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 경로 /usr/bin/pstree ※ 사용법 pstree [옵션]... [pid|user] ※ 옵션 옵션 설명 -a 지정한 인수까지 출력 -c 중복된 프로세스도 모두 출력, 디폴트 값은 트리 내의 동일한 프로세스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출력하고 중복된 개수를 출력함 -G VT100 형태의 트리로 출력 -h 현재 프로세스와 부모 프로세스를 하이라이트 형태로 출력 -H pid 지정한 pid(프로세스ID)의 프로세스와 부모 프로세스를 하이라이트 형태로 출력 -l 긴 라인을 모두 출력 -n pid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 -p p..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pmap -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pmap은 프로세스ID를 기준으로 메모리 맵 정보를 출력한다. ※ 경로 /usr/bin/pmap ※ 사용법 pmap [옵션]... pid [...]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x --extended 확장된 포맷으로 출력 -d --device 디바이스 포맷을 출력 -q --quiet 정보를 간단하게 출력 -V --version 버전 정보를 출력 ※ 사용예 예제니까 임의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 정보를 보도록 하겠다. 아래는 ps 명령어로 pid를 확인한후, pmap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세스의 메모리 맵을 본 화면이다. 아래는 -x 옵션을 줘서 Address, Kbytes, RSS.. 등의 필드들도 출력한 화면이다. ※ 관련 명령어 ps : 프로세스들의 현재 상태를 출력 pgrep..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pidof - 프로세스 ID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pidof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ID를 찾을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경로 /sbin/pidof ※ 사용법 pidof [옵션]... 프로그램명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s 중복되는 프로세스 ID가 있을 경우 하나의 프로세스 ID만 출력 -x 스크립트와 함께 실행중인 프로세스 ID도 힘께 출력 -o pids 지정한 프로세스(pids)를 제외하고 나머지를 출력 ※ 사용예 필자는 vi를 실행한 상태이고, 이 vi의 프로세스 id를 확인하고자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여 vi의 pid를 확인하는 모습이다. ※ 관련 명령어 ps : 프로세스 상태 보기nice : 프로세스 우선순위 변경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runlevel - 시스템 실행 레벨 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runlevel은 이전 실행 레벨과 현재의 실행 레벨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값을 출력할때는 공백 문자로 구분하여 출력하는데, 좌측이 이전 실행 레벨, 우측이 현재 실행 레벨이다. 만약 이전 실행 레벨이 없다면 N을 출력한다. runlevel 명령은 System-V의 who -r 명령을 대신해서 rc 스크립트 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init의 새로운 버전에서 이 정보들은 RUNLEVEL과 PREVLEVEL 환경변수를 지정하는데 사용되어 질 수 있다. ※ 경로 /sbin/runlevel ※ 사용법 # runlevel ※ runlevel 설명 아래 내용은 /etc/inittab 파일에 있다.0 - halt (Do NOT set initdefault to this)1 - Sing..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free - 메모리 사용 정보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free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메모리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스왑 메모리 등의 전체적인 메모리 현황을 확인하는 명령어다. 또한 커널에 의해 사용된 공유 메모리와 버퍼 정보도 출력한다. ※ 경로 /usr/bin/free ※ 사용법 free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b --bytes 메모리 단위를 바이트로 표시 -k --kilo 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 -m --mega 메가바이트 단위로 출력 -t 총계가 포함된 줄을 출력 -o 버퍼에 조정된 줄의 출력을 비활성화 -s 초 지정된 초마다 출력함, 초를 지정할때는 부동 소수점으로 지정가능 -V free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 ※ 사용예 아래는 옵션없이 free만 사용하였을 때의 화면이다. 옵션 -s를 사용한 화..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du - 디스크 사용 현황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써 현재 디렉토리 혹은 지정한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할때 사용한다.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경로의 모든 디렉토리 크기를 MB 단위로 출력한다. ※ 경로 /usr/bin/du ※ 사용법 du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a --all 현재 디렉토리 아래의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사용 정보를 출력 -B --block-size=SIZE 지정한 블록 크기(SIZE) 단위로 용량을 출력 -b --bytes 바이트 단위로 출력 -c --total 모든 파일의 디스크 사용 정보를 출력하고, 출력된 것들의 모든 합계를 출력 (보통 해당 경로가 얼마만큼의 용량을 차지하는지 확인할때 사용) -D --dereference-args 지정한 파..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df - 파일 시스템 디스크 공간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df는 시스템에 마운트된 하드디스크의 남은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기본적으로 1,024Byte 블록 단위로 출력하며, 옵션을 통해 다른 단위로 출력이 가능하다. ※ 경로 /bin/df ※ 사용법 df [옵션]... [파일명]...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a --all 0 블록의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시스템을 출력 -B --block-size=SIZE 지정한 크기(SIZE)를 블록 단위로 정하여 용량을 표시(예:--block-size=1m) --total 총계를 출력 -h --human-readable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의 크기로 출력(예:1K, 512M, 4G) -H --si 1KB는 1,024Byte지만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1,00.. 더보기 [리눅스] Linux Mint(민트) 특징 및 다운로드 방법 ※ 요약 리눅스 민트(Linux Mint)를 다운받는 방법을 소개하는 포스트다. 리눅스 민트는 우분투에서 파생된 배포판으로써, Java와 플래시 웹 플러그인 등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바로 사용하기 편한 배포판이다. 우분투에서 파생된 배포판이다 보니 우분투에 적용되는 팁의 대부분이 리눅스 민트에서도 적용가능하다. ※ 시스템 요구사항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PU (x86) 600MHz 1GHz Ram 512MB 1GB HDD 5GB 10GB ※ 리눅스 민트와 우분투 차이점 - 우분투보다 GUI(외형)에 더 신경씀- 우분투보다 더 많은 소프트웨어 및 코덱, 플러그인 등이 설치되어 있어 더 편함(물론 용량은 더 차지함)- 다국어는 우분투가 더 잘 지원함 ※ 리눅스 민트 사이트 링크 https://www.linu..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md5sum - md5 체크섬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md5sum은 파일의 md5 값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보통 파일의 무결성을 확인하기 위해 md5 해시 값을 확인하는데,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이 변조되었는지 등을 확인할때 사용한다.아래는 Kali linux의 다운로드 페이지다. 보면 sha1sum으로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처럼 md5나 sha등의 해시값으로 체크섬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곳이 생각보다 많다. ※ 경로 /usr/bin/md5sum ※ 사용법 md5sum [옵션]... Filename...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b --binary 바이너리 모드로 읽음 -c --check 파일에서 MD5 sum을 읽고 검사 -t --text 텍스트 모드로 읽음(디폴트 값) --help md5..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man - 명령어 매뉴얼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man은 각 종 명령어들의 자세한 사용법이나 매뉴얼을 볼 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사용법을 보면 사용이 복잡해보이지만 모든 옵션을 줄 필요는 없고 보통 "man 명령어" 형식으로 많이들 이용한다. ※ 경로 /usr/bin/man ※ 사용법 man [-옵션] [-m system] [-p string] [-M pathlist] [-P pager] [-S section_list] [section] 명령어명 ※ 옵션 옵션 설명 -a 찾고자 하는 명령어의 검색된 매뉴얼 페이지를 모두 출력 -c 최신의 cat 페이지가 있어도 소스 매뉴얼 페이지를 재구성 -C 파일명 매뉴얼 페이지의 configure 파일을 지정, 기본은 /etc/man.config -d 실제 매뉴얼을 보여주지 않고, 디버깅 정.. 더보기 [리눅스] ssh 접속 포트 변경으로 보안 강화 ※ 요약 필자는 리눅스 가상 서버를 호스팅 받아 사용중이고 이 가상 서버는 ssh 접속을 통해 관리 한다. 이때 ssh가 사용하는 기본 포트 번호 22는 잘 알려진 포트 번호로써 언제나 해킹의 위험이 있으므로 바꿔주는 것이 좋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sh의 접속 포트 번호를 바꾸는 방법을 다루도록 하겠다. ※ 관련글 - SSH 접속 장애시 원인별 로그http://shaeod.tistory.com/582 ※ 설명 먼저 "vi /etc/ssh/sshd_config"를 입력한다. 필자는 CentOS를 사용중이다. 리눅스 배포판 마다 경로가 다를수 있으니 참고 바란다. 파일 내용중 Port가 있는데 여기에 원하는 포트 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처음에는 #으로 주석 되어 있으니 #도 제거해줘야 한다. 참고로 포트 .. 더보기 [리눅스] Fedora(페도라) 다운로드 미러 사이트 ※ 요약 Fedora 리눅스의 미러 사이트를 소개하는 포스트이다. 필자는 대학교때 페도라 리눅스로 공부하여 Ubuntu나 CentOS보다 좀더 친근한 느낌이 든다. ※ 링크 https://admin.fedoraproject.org/mirrormanager/ ※ 다른 리눅스 배포판CentOSUbuntu ※ 설명필자가 09년 대학생때 08인가 09버전으로 공부한거 같은데 벌써 24버전까지 나왔다. 시간 참 빠르다는 생각이 든다. 다운로드는 아래 페이지에서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여 받으면 된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clear - 터미널 내용 지우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clear는 터미널의 내용을 모두 지우는 명령어로써, 도스의 cls명령어와 같은 동작을 한다. 옵션도 없고 너무 쉬운 명령어라 다른 설명은 필요 없을듯 하다. ※ 경로 /usr/bin/clear ※ 사용법clear ※ 사용예ls -al 명령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이 터미널 화면이 가득 찼을때 clear 명령을 수행하면 2번째 캡쳐처럼 내용이 모두 지워진다. 더보기 [리눅스] Ubuntu(우분투) 다운로드 미러 사이트 ※ 요약 Ubuntu 리눅스의 지난 버전 및 최신 버전들을 다운받을 수 있는 우분투 미러 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필자는 우분투 및 기타 리눅스 배포판을 다운 받을때 주로 미러 사이트를 이용하는데, 이유는 원하는 버전 및 지난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공식 사이트에 등록된 미러 사이트에서 다운받아야 보안상 안전하다. ※ 링크 https://launchpad.net/ubuntu/+cdmirrorshttp://ftp.riken.jp/Linux/ubuntu-releases/ ※ 다른 리눅스 배포판 다운로드CentOSFedora ※ 설명첫 번째 링크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349개의 미러 사이트 목록이 있으며 자신의 국가나 가까운 국가를 선택하여 다운받으면 된다. 등록된 미러 사.. 더보기 [리눅스] CentOS 다운로드 미러 사이트 ※ 요약 필자는 Fedora 및 Ubuntu, CentOS 리눅스를 사용하는데, 그중 CentOS의 미러 사이트를 정리할겸 포스팅한다. CentOS의 지난 버전 및 최신 버전을 다운받을 수 있다. ※ 링크 http://mirror.centos.org/ ※ 다른 리눅스 배포판 다운로드 Ubuntu Fedora ※ 설명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다양한 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필자는 테스트할 용도로 6.x과 7.x를 다운받았다. 독자들도 필요한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사용하기 바란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hostname - 시스템 이름 확인 및 설정 ※ 요약 리눅스 명령어 hostname은 시스템의 이름을 확인하거나 바꿀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경로 /bin/hostname ※ 사용법hostname [옵션]... FILE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a --alias 별칭명을 출력 -d --domain 도메인명을 출력 -F --file 지정한 파일에서 호스트명을 설정 -f --fqdn, --long FQDN을 출력 -i --ip 호스트의 ip주소를 출력 -n --node DECnet 노드명을 출력 -s --short 짧은 형식의 호스트명을 출력 FQDN 정보에서 첫 번째 점까지의 정보만 출력 -v --verbose 호스트 설정이나 호스트명을 자세히 출력 -y --yp, --nis NIS 도메인명을 출력 -h --help hostname 명령어.. 더보기 [리눅스] root 계정 FTP 530 Permission denied ※ 요약 530 Permission denied가 뜨는 이유는 접속 거부 리스트에 있는 계정으로 ftp에 접속하려고 하기 때문인다. 리눅스의 vsftp는 보안을 위해 접속 거부 리스트를 가지고 있고, 강력한 권한을 가진 root 계정도 기본적으로 접속 거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어서 "530 Permission denied" 메시지가 뜨면서 접속이 안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접속 거부 리스트에서 root 계정을 없애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수정해야 하는 파일 목록 수정해야 하는 파일은 아래 2개다. /etc/vsftpd/ftpusers /etc/vsftpd/user_list 위 2개 파일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ftpusers : 차단할거지만 패스워드는 물어봄, 맞든 틀리든 거부 user_lis..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