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썸네일형 리스트형 [리눅스 명령어] jobs - 현재 세션의 작업 상태를 출력 ※ 요약리눅스 명령어 jobs는 작업이 중지된 상태, 백그라운드로 진행 중인 작업 상태, 변경 되었지만 보고되지 않은 상태 등을 표시하는 명령어다. ※ 경로내부 명령어 ※ 사용법jobs [옵션] [job ID]jobs -x command [args] ※ 옵션 옵션 설명 -l 프로세스 그룹 ID를 state 필드 앞에 출력 -n 프로세스 그룹 중에 대표 프로세스 ID를 출력 -p 각 프로세스 ID에 대해 한 행씩 출력 command 지정한 명령어를 실행 ※ jobs로 알 수 있는 세션의 상태 값 상태 설명 Running 작업이 일시 중단되지 않았고 종료하지 않고 계속 진행 중임 Done 작업이 완료되어 0을 반환하고 종료 했음을 의미 Done(code) 작업이 정삭적으로 완료되었으며, 0이 아닌 코드를 반..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hostid - 호스트 ID 정보를 출력 ※ 요약리눅스 명령어 hostid는 현재의 호스트 정보를 16진수 형태로 보여준다. 이 정보는 호스트 고유의 번호로써, 다른 호스트들과 구별되며 주로 인터넷 주소를 부여할 때 사용된다. 참고로 호스트ID는 네트워크 내에서 워크스테이션, 서버, 라우터, 기타 TCP/IP 등의 각 서버들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각 호스트의 주소는 반드시 네트워크 ID를 기준으로 정확한 값을 가져야 하며 동일한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해야 한다. ※ 경로/usr/bin/hostid ※ 사용법hostid [옵션] ※ 옵션 옵션 설명 --help hostid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hostid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아래는 필자의 리눅스 시스템에서 간단히 사용해본 화면이다. ※ 관련 페이지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host - 도메인 정보 및 ip 정보 출력 ※ 요약도메인(호스트)명은 알고 있는데 ip주소를 모르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다. 호스트명을 이용하면 ip주소 뿐만이 아니라 하위 호스트명도 조회할 수 있다. 호스트는 시스템에 등록된 DNS서버를 이용하여 검색하는데, 다른 DNS 서버를 이용하고 싶다면 따로 지정해 줄 수도 있다. ※ 경로/usr/bin/host ※ 사용법host [옵션] [도메인 혹은 IP주소] [DNS서버] ※ 옵션 옵션 설명 -a -t ANY와 같은 기능 -d 디버깅 모드로 출력 -l zone zone 아래 모든 시스템을 출력 -r 반복 처리를 안 함 -t type type을 지정하여 정보를 얻음 (A:호스트ip주소, NS:검색한 호스트의 네임 서버 호스트명, PTR:도메인 네임 포인터, ANY:타입의 모든 정보..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ex - 라인 단위의 대화식 텍스트 에디터 ※ 요약리눅스 명령어 ex는 라인 단위의 대화식 텍스트 에디터로써,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vi에 내장되었다. ※ 경로/bin/ex ※ 사용법ex 파일명 ※ 변천사 ed 유닉스 기본 행 단위 편집기 ex 발전된 형태의 ed(Extended ed) vi 화면 편집기, ex의 명령들을 채택 vi 클론 vi가 발전된 형태로써 vim, elvis 등이 있음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rdate - 타임서버와 시스템 시간 동기화 ※ 요약리눅스 명령어 rdate는 remote date의 줄임말로써, 원격지의 타임서버에서 시간 정보를 가져와 로컬 시스템의 시간과 동기화를 하는 명령어다. 타임 서버에서 시간 정보를 가져오는 이유는 정확한 시간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 경로/usr/bin/rdate ※ 사용법rdate [옵션]... [타임서버 주소] ※ 옵션 옵션 설명 -4 IPv4만 사용 -6 IPv6만 사용 -o num 지정한 포트(num)으로 연결 -p 호스트의 정보만 출력하고 설정은 안 함 -s 설정만 하고 내용은 출력 안 함 -u TCP 대신 UDP 사용 -v 상세한 정보 출력 ※ 사용예빨간 줄은 필자의 서버 시간이고 파란 줄은 타임 서버(time.bora.net)의 시간이다. 보면 알겠지만 3분 30여 초의 차이가 나는데,..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cd - 디렉토리 이동 ※ 요약 리눅스 명령어 cd는 디렉토리를 이동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사용법 항목 설명 cd [디렉토리 경로] 이동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 cd . 현재 디렉토리 cd ..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변수명 변수에 저장된 경로로 이동 cd ~ cd $HOME cd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계정명 입력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 이전 경로로 이동 ※ 사용예 cd는 간단한 명령이라 사용예는 굳이 필요없지만 그래도 올려본다. 아래는 cd ~를 입력하여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사용예다. pwd로 현재 위치를 확인했을때 ~디렉토리인데, ~디렉토리 이전에는 /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때 cd -를 입력하여 이전 경로인 /로 다시 이동하는 모습이..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ook - 파일에서 특정 문자로 시작하는 라인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ook은 파일에서 주어진 문자로 시작하는 라인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다. 글로 설명하는 것보다 예제를 직접 보는 것이 직관적이므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 경로 /usr/bin/look ※ 사용법 look [옵션]... 문자열 [파일명] ※ 옵션 옵션 설명 -b 주어진 워드 리스트에서 이진 검색을 이용 -d 알파벳 문자만을 비교 검사 -f 알파벳 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t character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character)를 지정 ※ 사용예 아래는 look 명령어의 간단한 사용 예제다. 이미지에 설명이 있으므로 따로 설명은 하지 않겠으며, 보면 알겠지만 아주 간단한 명령어다. 아래 예제는 파일명을 지정하지 않았다. 파일명을 지정하..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chroot - 가상의 루트 디렉토리를 생성 ※ 요약 리눅스 명령어 chroot는 가상의 root를 만드는 명령어다. 가상으로 설정할 루트 경로에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라이브러리와 실행 파일을 복사해 놓고 chroot [새로운 루트 경로] 명령을 내리면 가상 root 시스템으로 들어가게 된다. 시스템 / 아래의 구조가 같고 환경이 구성되면 그 위에서 프로그램을 동작 시킬수 있는데, 이때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을 통해 기반 시스템의 쉘에 접근하지 못하므로 보안상 유리하다. 또한 chroot [새로운 루트 경로] [명령어]로 지정한 새로운 루트 경로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 현재는 버추얼 머신(VMWare, VirtualBox 등)이 더 나은 보안성과 편리성을 주기 때문에 chroot는 잘 쓰이지 않는 추세다. ※ 경로 /usr/sbin/chroot ※ 사..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deallocvt - 가상 터미널 제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deallocvt는 openvt 명령어와 다르게 가상 터미널을 제거하는 명령어다. 옵션 없이 사용하면 사용하지 않는 모든 가상 터미널의 커널 메모리와 데이터 구조를 제거하며, 하나 이상의 인자(N)를 지정하면 정확히 일치하는 /dev/ttyN이 제거된다. ※ 경로 /usr/bin/deallocvt ※ 사용법 deallocvt [Number]... ※ 사용예 아래는 openvt 명령어로 가상 터미널을 생성하고 제거하는 예제다. 참고로 가상 터미널 간 이동은 단축키(ctrl+alt+F1~F12)나 chvt 명령어로 하면 된다. ※ 관련 페이지 - [리눅스 명령어] openvt - 가상 터미널 생성- [리눅스 명령어] chvt - 가상 터미널 간 이동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openvt - 가상 터미널 생성 ※ 요약 리눅스는 X윈도우 데스크톱 환경에서 다중의 가상 터미널을 제공하며 openvt 명령어는 가상 터미널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deallocvt(가상 터미널 제거), chvt(가상 터미널 간 이동)와 함께 사용하는데, 기록을 보니 1980년대 부터 가상 터미널의 개념이 있었던 걸로 보인다. ※ 경로 /bin/openvt ※ 사용법 openvt [-c vt_number] [-s] [-u] [-l] [-v] [...] command command_option ※ 옵션 옵션 설명 -c vt_number 주어진 숫자(vt_number)로 번호를 할당하여 새로운 가상 터미널을 생성, 이때 반드시 시스템에서 할당할 수 있는 범위의 VT로 번호를 할당해야함 -f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하지 않고 강제적으로..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kbd_mode - 키보드 모드 확인 및 설정 ※ 요약 리눅스 명령어 kbd_mode는 키보드 모드를 확인하고 설정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경로 /bin/kbd_mode ※ 사용법 kbd_mode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s scancode 모드로 지정 (RAW) -k keycode 모드로 지정 (MEDIUMRAW) -a ASCII 모드로 지정 (XLATE) -u UTF-8 모드로 지정 (UNICODE) -h --help 사용법을 출력 -V --version 버전 정보를 출력 ※ 사용예 필자가 운영 중인 서버의 키보드 모드를 확인하고자 kbd_mode 명령어를 실행해봤다. 결과는 UTF-8 모드라고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ASCII 모드로 바꾸고 싶다면 kbd_mode -a 라고 입력하면 될 것이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mkfifo - FIFO 파이프 생성 ※ 요약 리눅스 명령어 mkfifo는 FIFO를 생성하는 명령어다. FIFO는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 경로 /usr/bin/mkfifo ※ 사용법 mkfifo [옵션]... 파일명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m --mode mode permission 비트를 지정한 모드로 설정 -Z --context=CTX 각각의 SELinux 보안 컨텍스트 이름을 CTX로 설정 --help 사용법 출력 --version 버정 정보 출력 ※ 사용예 mkfifo 명령어는 주어진 이름으로 하나의 FIFO를 만든다. 아래는 testfifo로 만들어 봤는데, 초기값으로 만들어지는 FIFO의 모드는 0666이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iconv - 파일의 문자 인코딩 방식을 변경 ※ 요약 리눅스 명령어 iconv는 주어진 파일의 인코딩 방식을 변경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경로 /usr/bin/iconv ※ 사용법 iconv -f [변경전 인코딩] -t [변경할인코딩] ※ 옵션 옵션 설명 --from-code, -f encoding 원본 파일의 변경 전 문자 인코딩을 지정 --to-code, -t encoding 변경하려는 대상의 문자 인코딩을 지정 --list, -l 지원하는 인코딩 목록들을 출력 --output, -o file 출력 내용을 표준출력 대신 지정한 파일에 저장 --silent, -s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음 --verbose 상태의 자세한 정보를 출력 ※ 사용예 먼저 지원하는 인코딩 목록부터 보기 위해 iconv -l 명령어를 실행해 보자. 지원하는 목록들을..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whereis - 명령어 경로 찾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whereis는 찾고자 하는 명령어의 실행 파일 절대 경로와 소스코드, 설정 파일 및 매뉴얼 페이지를 찾아 출력하는 명령어다. ※ 경로 /usr/bin/whereis ※ 사용법 whereis [옵션]... 파일명 혹은 명령어 명칭 ※ 옵션 옵션 설명 -b 바이너리 파일만 찾음 -m 매누얼 섹션만 찾음 -s 소스코드만 찾음 -u 특정 파일을 제외 -B 바이너리 파일의 위치를 제한 -M 매뉴얼 페이지의 위치를 제한 -S 원본 파일의 위치를 제한 -f -B, -M, -S 옵션에 디렉토리를 지정 다음, 이 옵션에서 파일명을 지정 ※ 사용예 whereis로 mkdir 명령어를 검색해본 결과다. 보시다시피 whereis로 검색하면 환경변수 $PATH에 설정된 실행 파일 경로 뿐만 아니라, 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ipcs - ipc 관련 정보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ipcs는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콜 프로세스의 ipc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다. ※ 경로 /usr/bin/ipcs ※ 사용법 ipcs [옵션]... ※ 옵션 옵션 설명 -i 특정 id에 대한 정보를 확인 -m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를 확인 -q 메시지 큐를 출력 -s 세마포어 배열을 출력 -a 모든 리소스를 출력, 출력 형식은 -t, -p, -c, -l, -u로 설정 가능 -t 시간 정보를 같이 출력 -p pid 정보를 같이 출력 -c creator 정보를 같이 출력 -l limits 정보를 같이 출력 -u 간추린 정보를 같이 출력 ※ 사용예 아래는 ipcs 사용예다. ※ 관련 페이지 - [리눅스 명령어] pidof - 프로세스 ID 확인- [리눅스 명령어] id - 사용자의..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enable - 내부 명령어 사용허가 설정 ※ 요약 리눅스 명령어 enable은 내부 명령어의 사용을 허가하거나 불허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경로 shell 내부 명령어 ※ 사용법 enable [옵션]... 이름 ※ 옵션 옵션 설명 -a 모든 내부 명령어를 출력 -n 해당 이름을 내부 명령어로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막아 놓은 명령어 목록 출력 -f filename 해당 파일(filename)을 내부 명령어에 등록 ※ 사용예 아래 빨간 박스는 kill 명령어의 사용을 금지한 뒤, 잘 금지 되었는지 확인 하고자 금지된 목록을 출력하는 내용이다. 파란 박스는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과정이다. 아래 보면 다시 허용된걸 알 수 있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access - 디렉토리나 파일의 존재 유무 및 권한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access는 현재 사용자의 권한으로 지정한 디렉토리나 파일의 존재 유무 및 권한(읽기, 쓰기, 실행)을 확인하는 명령어로써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스크립트 안에서 주로 사용된다. 또 이 access는 C언어에도 있는 함수로써, C언어에서도 동일한 동작을 한다. ※ 경로 /usr/bin/access ※ 사용법 access [모드] [파일명] ※ 옵션 Long옵션 설명 --help access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access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 ※ 관련 페이지 - [C언어] 디렉토리 및 파일 존재 유무, 속성 검사 함수 - access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su - 다른 사용자 환경 사용 ※ 요약 리눅스 명령어 su는 로그아웃 없이 임시로 다른 사용자의 UID와 GID 환경을 사용하게 해주는 명령어다. 보통 보안 때문에 root 계정 대신 일반 계정으로 로그인한뒤 잠시 동안 슈퍼유저 권한의 명령어를 사용할때 사용하며, 사용자를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root 계정으로 실행된다. ※ 경로 /bin/su ※ 사용법 su [옵션] [사용자] [쉘 변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c COMMAND --command=COMMAND 상호 대화형 모드가 아닌 지정한 명령어(COMMAND)를 실행 -f --fast 시작 파일을 읽지 않고 실행. csh쉘과 tcsh쉘에만 해당함 -, -l --login 지정한 사용자 환경으로 변경 -m, -p --preserve-environment 이전의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uptime - 시스템 가동 시간 및 평균 부하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uptime은 시스템의 가동 시간과 현재 사용자 수, 평균 부하량 등을 확인하는 명령어다. ※ 경로 /usr/bin/uptime ※ 사용법 uptime [옵션] ※ 옵션 옵션 설명 -V uptime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아래는 uptime 명령어의 사용예다. 시스템이 구동된지 125일이 되었고 1명의 유저가 사용중이며 평균 부하량을 알 수 있다. 참고로 평균 부하량은 1, 4, 15분 시간을 기준으로 평균 사용량을 출력한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echo - 지정한 문자열 및 환경변수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echo는 주어진 문자열을, 문자열 사이에 포함된 공백과 줄 마지막에 개행문자를 포함하여 표준출력으로 출력하는 명령어다. ※ 경로 내부 명령어 ※ 사용법 echo [옵션]... [문자열]... ※ 옵션 옵션 설명 -n 마지막에 따라오는 개행 문자(newline) 문자를 출력하지 않음 -e 문자열에서 역슬래시(\)와 조합되는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sequence)를 인용부호(")로 묶어 인식 ※ 이스케이프 문자 종류 및 내용 이스케이프 문자는 모니터나 프린터의 속성 등을 제어하기 위해 장치에 보내는 특수 문자열을 의미한다. 아래 이스페이프 문자들은 옵션 -e과 함께 사용한다. 이스케이프 문자 설명 \a 경고음 소리 출력 \b 백스페이스 \c 마지막 개행 문자를 출력 안 함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printenv - 환경 변수 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printenv는 print environment VARIABLE의 약자로써,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명령어 실행시 특정 환경 변수명을 지정하면 해당 환경 변수 값만 출력하고 환경 변수명 없이 명령어만 실행할 경우 시스템에 있는 모든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 경로 /usr/bin/printenv ※ 사용법 printenv [옵션]... [환경 변수명]... ※ 옵션 Long옵션 설명 --help printenv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printenv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아래는 printenv 명령어의 실행예다. ※ 관련 명령어 env : 환경 변수 보기 및 변경echo : 환경 변수 출력export : 환경 변수 확인 및 수정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env - 환경 변수 보기 및 변경 ※ 요약 리눅스 명령어 env는 현재 지정되어 있는 환경 변수들을 출력하거나, 새로운 환경 변수를 설정하고 적용된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다. ※ 경로 내부 명령어 ※ 사용법 env [옵션]... [name=값]... [명령 [인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i --ignore-environment 현재 환경을 무시하고 지정한 변수 값을 따름 -u --unset name 지정한 변수(name)를 제거 --help env 명령어의 사용법 출력 --version env 명령어의 버전 정보 출력 ※ 사용예 옵션 없이 env 명령어만 입력하여 변수 값만 출력해 보았다. ※ 관련 명령어 echo : 환경 변수 출력export : 환경 변수 확인 및 수정printenv : 환경 변수 보기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dir - 파일 및 디렉토리 내 목록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dir은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로써 ls 명령어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MS-DOS에도 있는 명령어라 MS-DOS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 경로 /usr/bin/dir ※ 사용법 dir [옵션]... [파일]... [옵션] : 생략 가능하고 여러개 사용가능[파일] : 생략 가능하고 여러개 지정가능 ※ 옵션옵션은 보통 (-)와 함께 입력하여 사용한다.그 밖에 LONG 옵션을 제공하는데, LONG 옵션은 보통 (--) 기호를 선행하여 사용한다. 옵션 Long 옵션 설명 -a --all .을 포함하여 경로 안의 모든 내용을 출력 -A --almost-all .과 ..을 제외한 모든 내용을 출력 -b --escape 알파벳 형식의 리스트를 출력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sof - 실행 중인 파일과 프로세스 정보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sof는 현재 사용중인 파일들의 목록과 함께 해당 파일의 소유자, 관련 프로세스, 크기, 타입 등의 정보를 출력해주는 명령어다. ※ 경로 /usr/sbin/lsof ※ 사용법 lsof [옵션]... [파일]... ※ 옵션 옵션 설명 -a 파일을 선택하는데 AND 연산으로 대상을 출력 -c 지정한 COMMAND 필드만 출력 -F 지정한 구분자로 필드를 구분하여 출력 -g 지정한 그룹 아이디를 사용하는 관련 프로세스를 출력 -i 현재 사용되는 소켓 정보를 출력 -l 로그인 사용자명 대신에 UID를 출력 -n 호스트명 대신에 IP주소를 출력 -P 포트 서비스명 대신에 포트 번호를 출력 -r 지정한 초의 주기로 반복해서 출력 (디폴트 값은 15초) -s 파일의 크기를 출력 -V 보다 상..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file - 파일 종류 확인 및 정보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file은 파일의 종류 확인 및 파일 속성 값을 확인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주로 acsii나 text, date와 같은 파일 속성을 출력하는데, /usr/share/magic이나 /usr/lib/magic에 저장한 파일 정보를 참고하여 파일 속성을 출력한다. 필자 생각에 이 명령어는 중요도도 낮고 사용 빈도도 낮을거 같으므로 이런 명령어도 있구나 하고 넘어가면 될것이다. ※ 경로 /usr/bin/file ※ 사용법 file [옵션]... filename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b --brief 지정한 파일명은 출력하지 않고 파일의 유형만 출력 -f --file-from 파일목록 파일목록에서 지정한 파일들에 대해서만 명령을 실행 -i --mime MIME 타입 문자로 출..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ogger - 시스템 로그에 임의 메시지 기록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ogger는 /var/log/message 파일에 원하는 메시지(로그)를 기록할 수 있는 명령어다. 필자는 이 명령어가 익숙하지 않아서 거의 사용안하지만 습관적으로 사용하면 꽤 유용할거 같다. ※ 경로 /usr/bin/logger ※ 사용법 logger [옵션]... [메시지]... ※ 옵션 옵션 설명 -i 각각의 라인마다 logger의 프로세스 ID를 기록 -s 시스템 로그뿐만 아니라 표준 출력으로도 메시지를 기록 -f file 지정한 file에 로그를 기록 -p pri pri(우선순위)를 메시지와 함께 기록, 기본값은 user.notice -t tag tag를 각각의 라인마다 기록 (검색시 유용할듯 싶다.) ※ 사용예 아래는 logger 명령어 사용예인데, root 계정이 아..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astlog - 접속 로그 보기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astlog는 /var/log/lastlog 로그 파일의 정보를 분석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다. 이 파일을 통해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시간, 호스트명, 포트 등을 볼 수 있다. ※ 경로 /usr/bin/lastlog ※ 사용법 lastlog [옵션]... ※ 옵션 옵션 Long옵션 설명 -t DAYS --time DAYS 지정한 날짜 단위(DAYS) 기간에 로그인한 정보만 출력 -u LOGIN --user LOGIN 지정한 로그인명(LOGIN)의 lastlog 정보만 출력 -h --help lastlog 명령어 사용법 출력 ※ 사용예 아래는 필자의 시스템에서 lastlog 명령어를 실행한 화면이다. 보면 알겠지만 root 계정 말고는 로그인한 적이 없다. -u 옵션으로 특정 계정의..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astb - 로그인 실패 로그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astb는 접속 실패 기록을 보여주는 명령어다. last 명령어가 로그인 기록과 재부팅 기록을 보기 위해 /var/log/wtmp 파일을 열람한다면, lastb는 /var/log/btmp 파일을 열람하여 실패 목록을 보여준다. lastb는 접속 실패를 기록하는 파일인 btmp 파일을 열람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last 명령어와 같다. ※ 경로 /usr/bin/lastb ※ 사용법 lastb [옵션]... [유저명]... [tty]... ※ 옵션 옵션 설명 -num num 만큼의 줄만 출력 -n num -num과 동일 -R hostname필드는 출력 안 함 -a 출력되는 목록에서 hostname 필드는 마지막에 출력 -d 다른 host에서 접속한 내용만 출력 -x shutdown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ast -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 확인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ast는 로그인과 재부팅 로그를 출력하는 명령어다. 로그 파일은 /var/log/wtmp 파일에 위치하며 시스템의 부팅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유저의 로그인과 로그아웃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 파일의 내용을 last 명령어가 보여준다. 참고로 lastb 명령어는 /var/log/btmp 로그 파일을 보여주는 명령어로써, 어느 파일을 오픈하는지만 다르고 나머지는 똑같다고 보면 된다. 어렵지 않은 명령어이므로 금방 익힐 수 있으며 ※ 경로 /usr/bin/last ※ 사용법 last [옵션]... [유저명]... [tty]... ※ 옵션 옵션 설명 -num num 만큼의 줄만 출력 -n num -num과 동일 -R hostname필드는 출력 안 함 -a 출력되는 목록에서 hos..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pstree - 프로세스 트리를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pstree는 프로세스의 상관관계(부모-자식 관계)를 트리 형태로 출력해주는 명령어로써, 관계를 트리 형태로 출력해주므로 계층 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 경로 /usr/bin/pstree ※ 사용법 pstree [옵션]... [pid|user] ※ 옵션 옵션 설명 -a 지정한 인수까지 출력 -c 중복된 프로세스도 모두 출력, 디폴트 값은 트리 내의 동일한 프로세스를 하나의 프로세스로 출력하고 중복된 개수를 출력함 -G VT100 형태의 트리로 출력 -h 현재 프로세스와 부모 프로세스를 하이라이트 형태로 출력 -H pid 지정한 pid(프로세스ID)의 프로세스와 부모 프로세스를 하이라이트 형태로 출력 -l 긴 라인을 모두 출력 -n pid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 -p p..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