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 시놀로지 나스 다운로드 스테이션 시딩 자동 제거하는 방법 ※ 요약 필자는 시놀로지 나스를 이용중이고 기본 내장된 다운로드 스테이션을 통해 토렌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다운로드가 완료된 작업은 필자가 목록에서 일일이 제거해주는데, 이 작업이 생각보다 귀찮아서 옵션을 찾다보니 자동으로 완료된 작업을 제거하는 설정을 찾게되어 이 포스트를 작성한다. 시놀로지 나스를 이용하고 다운로드 스테이션을 이용하는 유저라면 자동으로 작업이 제거되게 하여 좀 더 편하게 사용해보자. ※ 설정 방법 아래는 필자의 다운로드 스테이션에 접속한 화면이다. 화면 좌하단의 설정 버튼을 누르도록 하자.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우측 메뉴에서 BT 항목을 선택한뒤 자동으로 보내기 중지 부분을 수정해주면 된다. 필자는 공유 도달 비율은 200%로 설정하였고 보내기 도달 시간은 2시간으로 설.. 더보기 [블로그] think with Google - 모바일 친화도 테스트 ※ 요약 요즘엔 데스크탑보다 모바일 기기(휴대폰, 태블릿)에서 정보를 검색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 고로 블로그나 사이트가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인데,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가 사이트를 떠날 가능성이 5배 더 높아진다고 하니 구글에서 제공하는 think with Google로 본인의 블로그나 사이트를 확인하여 얼마나 모바일에 얼마나 최적화 되어 있는지 확인해보고, 또 수정해보자. ※ 사이트 주소 https://testmysite.thinkwithgoogle.com/intl/ko-kr/ ※ 설명 아래는 구글 think with Google에 접속한 화면이다. 아래에 테스트하고 싶은 URL을 입력한뒤 지금 테스트하기 버튼을 눌러보도록 하자. 아래는 테스트를 진행중인 화면이다. 테스트는 금방..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cd - 디렉토리 이동 ※ 요약 리눅스 명령어 cd는 디렉토리를 이동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다. ※ 사용법 항목 설명 cd [디렉토리 경로] 이동하려는 디렉토리로 이동 cd . 현재 디렉토리 cd .. 한 단계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변수명 변수에 저장된 경로로 이동 cd ~ cd $HOME cd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계정명 입력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 cd - 이전 경로로 이동 ※ 사용예 cd는 간단한 명령이라 사용예는 굳이 필요없지만 그래도 올려본다. 아래는 cd ~를 입력하여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사용예다. pwd로 현재 위치를 확인했을때 ~디렉토리인데, ~디렉토리 이전에는 /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때 cd -를 입력하여 이전 경로인 /로 다시 이동하는 모습이.. 더보기 [라이브러리] 파이썬 모듈 중 하나인 requests 설치하기 ※ 요약 파이썬 requests 모듈은 간편한 HTTP 요청처리를 위해 사용하는 모듈로써, 기본 내장 모듈이 아니라 개발자가 따로 설치해주어야 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ip를 이용하여 requests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치 환경 운영체제 : 윈도우10 x64파이썬 버전 : 3.5.1requests 버전 : 2.12.5 ※ 설치 방법 먼저 커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실행 창에 cmd라고 입력한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잘 모르겠으면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cmd) 실행하는 방법이라는 포스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커맨드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작업하면 된다.1. pip는 파이썬이 설치된 폴더 하위에 Scripts 폴더에 있으므로 Scripts 폴더까지 이동한다. 이동할 때는 cd(Cha.. 더보기 [iOS] 아이폰 터치아이디에 등록된 지문 찾는 방법 ※ 요약 아이폰 5s 부터 추가된 터치아이디 기능, 지문을 등록해 touch id 기능을 사용하다보면 특정 손가락 인식이 잘 안되서 재등록하고 싶을때가 있다. 이때 등록된 지문 여러개 중에서 특정 지문을 찾아서 지우고 재등록해야 하는데, 등록된 지문을 간단하게 찾는 방법이 있어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설명 먼저 설정 앱을 실행한뒤 아래와 같이 Touch ID 및 암호 항목을 터치하도록 한다. 암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Touch ID 및 암호 설정 창으로 들어올 수 있는데, 여기서 손가락을 홈버튼에 올리면 아래와 같이 올린 손가락이 등록된 지문이 하이라이트 된다. 필자는 왼손 엄지를 올렸더니 왼손 엄지 항목이 하이라이팅 되었다.(물론 왼손 엄지는 필자가 정한 이름인데, 보통 이렇게 저장하는 사람은 .. 더보기 [블로그] 티스토리 카테고리에 따른 자동 주제 분류 기능 ※ 요약 이번 포스트에서는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글을 작성할때 작은 도움이 되는 팁을 알려주고자 한다. 바로 카테고리에 따른 자동 주제 분류 기능인데, 이 기능은 아래와 같이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글을 작성할 때 매번 주제를 선택해야 하는 귀찮음을 덜어주는 기능으로써, 특정 카테고리에 작성한 글을 특정 주제로 자동 선택되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이 기능은 필자처럼 글을 다 쓴뒤 주제 선택을 자주 깜빡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팁이다. ※ 설정 방법 아래 화면은 티스토리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법한 관리자 화면이다. 먼저 카테고리 설정으로 이동한뒤 우하단에 위치한 주제 분휴 설정 항목을 사용으로 체크하도록 한다. 사용한다고 체크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 창이 나오는데, 이곳에 설정을 하면 된다. 가령 필자는 L.. 더보기 [리눅스] ls 명령어 사용시 시간 출력 형식을 내 맘대로 ※ 요약 리눅스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ls, 필자도 정말 많이 사용하는데, 마음에 안드는게 하나 있다면 시간 출력 형식이랄까? 바로 아래와 같이 말이다. 코쟁이들은 숫자면 숫자, 글자면 글자만 사용할 것이지 글자랑 숫자랑 섞으니 가독성도 안좋고 공간도 많이 차지하지여 불편하지 않은가.. 물론 날짜 표기를 월.일.연 혹은 일.월.연 등 순서가 뒤죽박죽이라 구분하기 위해서라지만 한국 사람들에게 불편한건 변함이 없다. 아무튼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날짜 형식을 내 맘대로 조절해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 먼저 vi ~/.bashrc를 입력하여 아래와 같이 .bashrc 파일을 열도록 한다. 아시겠지만 .bashrc는 홈디렉토리 하위에 존재하며 ~는 홈 디렉토리를 의미하므로 vi ~/.b.. 더보기 [블로그] 티스토리 로그인 보안 강화하기 ※ 요약 2017년 2월 2일 16시 06분, 티스토리 공식 블로그에 "당신의 블로그는 안전한가요? - 로그인 보안 기능 안내"라는 업데이트 소식이 올라왔다. 평소 계정 보안에 관심이 많아 바로 클릭하여 내용을 확인해보니 새로운 보안 기능(등록된 기기만 로그인 가능)이 추가되어 소개하고자 올린 공지였다. 필자로써는 아주 반가운 소식이 아닐수가 없었는데, 그런 의미에서 이번 포스트는 새로 추가된 보안 기능과 기존의 보안 기능인 해외 로그인 차단 기능을 간단하게 소개하는 내용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 공지 확인하러 가기- 당신의 블로그는 안전한가요? - 로그인 보안 기능 안내 ※ 설명 새로운 기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티스토리 www.tistory.com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뒤 아래와 같이 설정 버튼을 누른다.. 더보기 [개발]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재발행 결정 ※ 요약 1983년 11월 첫 출간되어 32년 간 발행해온 월간 마이크로소프트웨어가 32년 만인 15년 12월에 폐간되었다가 2017년 1월부터 다시 재발행된다. 전과 다르게 3개월 간격으로 발간하며 2017년 1월 호(주제 인공지능)와 4월 호(주제 미정)는 단일 주제를 다룰 예정이다. 필자는 면접 보러 갔다가 우연히 마소 잡지를 봤었는데, 이번에 복간된다니 참으로 반갑다. e북 같은 플랫폼으로 나온다면 구독할 마음이 104%다! ※ 사이트 링크 http://www.imaso.co.kr/ ※ 폐간 관련 뉴스 http://news.mk.co.kr/newsRead.php?no=1117005&year=2015 ※ 설명 "마소가 돌아왔다" 조선미디어그룹 가족으로 재출발한 마이크로소프트웨어는 1983년 11월 .. 더보기 [Windows] 윈도우10 가상 데스크탑 기능 활용하기 ※ 요약 윈도우10부터 가상 데스크탑이라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기능은 가상으로 바탕화면(데스크톱)이 여러개인것처럼 하는 기능으로써 회사나 집에서 남 몰래 다른 작업?을 할 때 유용한 기능이다. 사실 리눅스에서는 수 년, 혹은 10여년 전부터 나온 기능인데 윈도우에는 최근에야 나왔는지 모르겠다. 아무튼 글로 설명을 보는 것보다 이미지로 직접 보는게 더 와 닿을테니 설명은 이만 줄이도록 하겠다. 아래는 CentOS7에 있는 가상 데스크탑 기능(다중 작업 공간) ※ 관련 단축키 설명을 보기전에 간단히 훑어보자. 무슨 기능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정도로 말이다. 순서 기능 단축키 1 전체 데스크탑 보기 윈도우 키 + Tab 2 새로운 데스크탑 생성 윈도우 키 + Ctrl + D 3 현재 데스크탑 활성화된 데스크.. 더보기 [리눅스] CentOS 및 Ubuntu에서 sudo로 root 권한 얻는 방법 ※ 요약 카페24에서 새로운 리눅스 가상 서버를 분양 받은뒤 파이썬3 설치 작업을 위해 일반 계정으로 sudo 명령을 실행하니 아래와 같이 계정명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며 root 권한을 못 얻는게 아닌가? 원인은 /etc/sudoers에 계정이 등록되지 않아 발생한 문제였었고, 현재는 계정을 등록 해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한 상태다. 이 포스트는 다음에 또 같은 문제로 고생하지 않기 위해 정리할겸 포스팅한다. ※ 설정 방법 sudo가 안되므로 root로 로그인한뒤 visudo -f /etc/sudoers 라고 입력한다. 아래와 같이 root 계정 밑에 아래 행을 추가해준다. 필자는 root 행을 그대로.. 더보기 [리눅스] mysql 및 mariadb 접속 포트 변경하는 방법 ※ 요약 필자는 카페24에서 리눅스 가상 서버를 2대 호스팅 받아 이용중이다. 하나는 CentOS 6.7, 또 하나는 CentOS 7.2를 말이다. 2대는 각각 mysql5.1과 mariadb5.5를 사용중이며 보안상 기본 포트인 3306을 다른 포트로 변경하여 사용중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mysql 및 mariadb의 접속 포트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 사실 mysql과 mariadb의 설정 방법은 동일하다. 먼저 root 계정으로 "vi /etc/my.cnf"라고 입력한다. 맨 윗 줄에 [mysqld]라고 되어 있는게 보일 것인데, mysqld이 [ ]로 감싸져 있는 이유는 구역(섹션)을 나누기 위함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이다. 즉 다른 [구역]을 만나기 전까지는 mysq.. 더보기 [유틸리티] 윈도우에서 phantomjs 다운로드 방법 ※ 요약 필자는 요새 파이썬으로 웹 크롤러를 개발하고 있는데, 동적 웹 페이지를 크롤링 하기 위해서는 selenium과 함께 phantomjs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윈도우에서 phantomjs를 내려 받는 방법을 알아보고 다음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내려받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phantomjs란 팬텀js는 인터페이스가 없는 headless 브라우저다. 웹사이트의 소스코드를 메모리에 불러오고 페이지의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지만 그래픽을 전혀 렌더링 하지 않으며, 파이썬의 셀레니움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와 쿠키, 헤더, 스크린샷 등 강력한 웹 크롤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 다운로드 주소 http://phantomjs.org/download.html .. 더보기 [유틸리티] 엔비디아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방법 ※ 요약 이번 포스트에서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최신 버전 다운로드 주소 http://www.nvidia.co.kr/Download/index.aspx?lang=kr ※ 구버전 다운로드 주소http://www.nvidia.co.kr/Download/Find.aspx?lang=kr ※ 설명 다운로드 주소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고, 자신의 그래픽카드 시리즈(모델명)을 입력한뒤 검색 버튼을 누르면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자신의 그래픽카드 모델명을 모른다면? 아래 이미지에 두 번째 방법이라고 표시된 그래픽카드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되는데, 스캔 속도도 오래 걸리고 자바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므로 비추다. 이때는 Speccy -.. 더보기 [Windows] 윈도우 알림 비활성화하는 방법 ※ 요약 윈도우에는 두 가지 종류의 알림이 존재한다. 보안 및 유지 관련 알림과 앱(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이 그 두 가지인데,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림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윈도우7부터 윈도우10까지 적용되는 내용이다. ※ 보안 및 유지 관련 알림 설정 먼저 제어판을 실행한뒤 보안 및 유지 관리 항목을 클릭하도록 한다. 이번에는 좌측 메뉴중 보안 및 유지 관리 설정 변경 항목을 클릭한다. 드디어 알림을 설정하는 곳까지 왔다. 아래에서 비활성화 하고 싶은 알림을 언체크(Uncheck)하면 되겠다. 참고로 언체크할 경우 문제가 생겨도 알림을 못 받아 대응을 못 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필자는 SmartScreen과 윈도우 백업, .. 더보기 [유틸리티] 원하는 사이트 쉽게 캡쳐하는 방법 ※ 요약 가끔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캡쳐를 하고 싶은 사이트들이 있다. 그것도 풀 화면 캡쳐로다가! 그래서 준비한 이번 포스트는 자신이 캡처하고 싶은 사이트의 URL 주소만 넣으면 손 쉽게 풀 화면으로 캡처 해주는 유틸리티성 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따로 프로그램이나 액티브X, 플러그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추가로 사이트의 소스 코드도 제공받을 수 있어 참 유용한 사이트다. ※ 사이트 주소 http://www.platyhouse.com/webcapture/ ※ 설명 상기의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에디트 박스에 캡쳐하고 싶은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뒤 Capture 버튼을 누른다. 수 초가 지난뒤 아래와 같이 캡쳐 화면과 함께 소스코드도 받을 수 있다. 캡쳐 이미지는 .. 더보기 [iOS] 아이폰의 기본앱으로 나침반 및 수평계, 각도기 사용하는 방법 ※ 요약 아이폰에는 나침반(Compass)이라는 훌륭한 기본 내장앱이 존재한다. 또 이 나침반 앱에는 수평계와 각도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또한 기본에 충실하면서 필요할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알아두면 좋을 것이다. ※ 나침반 나침반은 아래와 같이 검은색 아이콘으로써 한글로 나침반이라고 써져 있다. 영문일 경우엔 Compass. 아래는 나침반 앱을 실행한 모습이다. 중앙에 나침반이 있고 아래에는 도와 현재 위치, 위경도 값이 출력되므로 등산시 유용하다. 물론 필자는 등산을 자주 안가지만 말이다... ※ 수평계 아래는 수평계의 모습인데, 수평계 모드로 바꾸는 방법은 나침반 모드일때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프하면 된다. 수평계는 알다시피 바닥이 평평한가 확인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바닥에 아이.. 더보기 [라이브러리] 파이썬 pip로 selenium 설치하기 ※ 요약 selenium(셀레니움) 라이브러리는 본래 웹사이트의 테스트를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지만 자바스크립트 같이 동적으로 구성된 페이지를 크롤링하거나 사이트 캡쳐 등을 할 때에도 사용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셀레니움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볼텐데, 참고로 설치는 selenium 웹사이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직접 설치하거나 pip 같은 패키지 관리자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오늘은 비교적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pip를 이용한 설치 방법을 소개하겠다. ※ 설치 환경 운영체제 : 윈도우10 x64파이썬 버전 : 3.5.1셀레니움 버전 : 3.0.2 ※ 설치 방법 설치는 커맨드 창에서 진행해야하므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도록 한다. 실행 창에 cmd라고 입력하면 된다. 진행은 크게 3단계로 진.. 더보기 [유틸리티] 크롬드라이버(chromedriver) 다운로드 방법 ※ 요약 이번 포스트에서는 크롬드라이버(chromedriver)를 다운로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필자가 크롬 드라이버를 내려받는 이유는 파이썬으로 동적 페이지를 크롤링할때 selenium과의 연동에 필요해서인데, 테스트해보니 아무래도 크롬보다는 phantomjs가 더 좋을듯 싶다. phantomjs는 다음 포스트에서 내려받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다운로드 페이지 http://chromedriver.storage.googleapis.com/index.html ※ 다운로드 방법 상기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원하는 버전을 클릭하도록 한다.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체제의 버전을 선택하면 된다. 필자는 윈도우.. 더보기 [Windows] 윈도우10 알람 및 세계시간, 타이머, 스톱워치 실행하는 방법 ※ 요약 윈도우10은 데스크탑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의 사용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므로 기존 스마트폰처럼 여러가지 앱이 설치되어 있는데 오늘 소개할 알람도 그중 하나다. 윈도우10에 기본 내장된 알람 및 세계시간, 타이머, 스톱워치 실행 방법을 익혀두었다가 필요할때 유용하게 사용해보기 바란다. 생각보다 괜찮다! ※ 알람 및 시계 앱 실행 방법 실행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 시작 버튼을 누르고 알람 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굳이 찾기나 검색 항목에 입력할 필요없이 정말로 시작 버튼만 누르고 알람이라고 입력해보라, 아래처럼 말이다! ※ 사용 방법 설명 사용 방법은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직관적이다. 또 기존의 스마트폰과도 매우 비슷하고 말이다. 뭐 그래도 혹시 모르니 각 항목들에 대해 간단히 설..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uncompress - 압축 해제 ※ 요약 얼마 전 파일 압축 명령어인 compress를 알아보았다. 이번에는 반대로 압축 해제 명령어인 uncompress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압축 해제는 compress 명령어에 옵션 -d를 하면 풀리기도 하며, 이 두 명령어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 명령어들이다. 보통은 tar와 gzip을 많이 이용하는 걸로 알고 있다. ※ 경로 /usr/bin/uncompress ※ 사용법 uncompress [옵션]... 압축파일명 ※ 옵션 옵션 설명 -f 강제로 압축 해제, 기존에 같은 파일명이 있을 경우 덮어씌움 -v 압축 해제 진행 과정을 출력 -c 원본 파일이 변경되지 않고 해제되는 내용만 출력 -V uncompress 명령어의 버전 정보를 출력 ※ 사용예 아래는 간단한 압축 해제 예제다. compr.. 더보기 [맥os] 맥의 작업관리자인 활성상태보기로 시스템 자원 현황 보기 ※ 요약 윈도우에는 작업관리자가 있어 각종 시스템 현황(프로세스, 성능(CPU, 메모리, 디스크, 이더넷), 앱 기록 세부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는데, 맥에서는 어떻게 시스템 상태를 파악할까? 정답은 활성상태보기 앱이다. 활성상태보기 앱은 맥의 작업관리자로써, CPU와 메모리는 물론이고 배터리, 네트워크 상태 등을 살펴볼수 있다. ※ 시스템 현황 보는 방법 먼저 앱을 실행해보자. 아래와 같은 절차대로 하면 된다. 1. 돋보기 아이콘을 눌러 검색 창을 띄운다. 2. 검색어에 "활성 상태 보기"라고 입력한다. "활"자만 입력하여도 자동 완성된다. 3. 검색 결과 중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실행된다. 아래는 실행된 활성상태보기 앱이다. 맨 먼저 CPU 영역인데, 어느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의 CPU의 점유율.. 더보기 [블로그] 티스토리 서식 기능을 이용하여 편하게 글쓰기 ※ 요약 아래 이미지는 필자가 작성한 포스트 중에 하나인데, 색 별로 섹션을 나눠 포스팅할때마다 귀찮을 거 같지만 서식 기능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아래와 같이 글을 쓸 수가 있다.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고? 그럼 아래 설명을 보라, 그럼 좀 나을 것이다. ※ 서식 설정 방법 먼저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글쓰기를 선택한뒤 아래 절차대로 하면 된다.1. 서식 모드로 바꾸기2. 서식 제목 지정3. 서식 내용 작성4. 서식 저장 필자는 아래와 같이 형형색색으로 서식을 지정하였지만 꼭 아래처럼 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내용에 맞게 구성하면 된다. 또 본문 중간에 광고를 삽입하여 글을 작성하는 블로거 분들도 있을텐데, 이 역시 서식에 미리 광고 코드를 삽입하여 두면 편하다. 위에서 서식을 저장하는 방법을 익혔는데, .. 더보기 [라이브러리] 파이썬으로 MySQL 연동을 위한 pymysql 설치 ※ 요약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많은 내장 라이브러리들을 지원하고 있지만 불행히도 MySQL 관련은 없다. 이 말은 즉, 사용자가 직접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줘야 한다는 말인데 너무 걱정하지는 말자. pip를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Python에서 MySQL을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들은 적지 않은 편이며, 이번 포스트에서는 널리 사용되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pymysql의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설치 환경 운영체제 : 윈도우10 x64파이썬 버전 : 3.5.1pymysql 버전 : 0.7.9 ※ 공식 다운로드 링크 https://github.com/PyMySQL/PyMySQL ※ 설치 방법 먼저 커맨드 창을 띄우기 위해 실행 창에 cmd라고 입력한다. 혹 커맨드 창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compress - 파일 압축 ※ 요약 리눅스 명령어 compress는 하나 이상의 파일을 압축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로써 압축된 파일의 확장자는 .Z다. 압축 해제는 uncompress 명령어로 하거나 compress 명령어에 옵션 -d를 붙여 압축을 해제하면 된다. 이 명령어는 잘 쓰지 않는 명령어인데, 보통은 tar 명령어로 파일들을 묶고 compress 명령어 대신 gzip이나 bzip2으로 압축을 하는 편이다. 물론 케바케겠지만 말이다. ※ 경로 /usr/bin/compress ※ 사용법 compress [옵션]... 파일명... ※ 옵션 옵션 설명 -b maxbits 최대 비트 수를 제한 -c 기본 생성 파일인 .Z가 아닌 지정한 파일로 생성 -d 압축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 uncompress 명령과 같은 효과 -f 기존에 .. 더보기 [맥os] 마우스 연결시 맥북 내장 트랙패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 요약 맥북을 사용하는 유저 중에 마우스나 무선 트랙패드가 연결 됐을때 내장 트랙패드를 비활성화하고 싶은 유저가 있을 것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런 유저들을 위해 내장 트랙패드를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아무런 장치가 연결 안되었을때도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없는걸로 알고 있으며, 혹시 아는 분이 있다면 알려주면 고맙겠다. ※ 설정 방법 먼저 설정->손쉬운 사용 항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좌측 메뉴에서 마우스와 트랙패드 항목을 선택한뒤 우측 옵션중 마우스 또는 무선 트랙패드가 있으면 내장 트랙패드 무시하기 항목을 체크하면 된다. 더보기 [윈도우] 작업 표시줄 시간에 초 단위 출력하는 방법 ※ 요약 이번에 소개하는 내용은 윈도우10 레드스톤1 14393 이후 빌드부터 적용되니 참고하기 바란다. 자신이 윈도우10을 사용하기는 하는데 빌드는 몰라 확인하고 싶다면 [윈도우] winver - 버전 및 빌드 확인 방법이라는 포스트를 참고하면 된다. winver를 통해 빌드를 확인했을때 14393 보다 숫자가 높으면 된다. 아무튼 작업 표시줄에 표시되는 시계는 시 단위와 분 단위만 표시가 되는데, 우연히 초 단위도 표시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 설정 방법 먼저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해야 한다. 실행 창에 regedit이라고 입력하면 되는데, 잘 모르겠으면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방법이라는 포스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편집기에서 아래 경로로 이동하기 바란다. HKEY_CUR.. 더보기 [유틸리티] 버추얼박스(virtual box) 다운로드 방법 ※ 요약 필자는 VMware를 사용하지만 버추얼박스(virtual box)에도 관심이 많아 공식 홈페이지에 종종 들르고는 한다. 최근에도 생각나서 들렀더니 2016년 12월 20일에 최신 버전인 5.1.12 버전이 배포된게 아닌가!? 2016년 마지막 버전을 기념하고자 포스팅하니 필요한 독자가 있다면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기 바란다. ※ 버추얼 박스 설명 버츄얼박스는 GPL 버전2를 따르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써,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가상화 제품이다. 인텔의 VT-x와 AMD의 AMD-V를 지원하며 윈도우즈, 리눅스, 매킨토시는 물론 솔라리스에서도 실행된다. 상용 프로그램인 VMware에 비해 기능면에서는 좀 부족한 편이지만 가정에서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함이 없으며 무료인점 또한 .. 더보기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에 네이버 지도 삽입하는 방법 ※ 요약 필자는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 중인데, 맛집 포스팅이나 여행 후기 포스팅 등을 작성할때 네이버 지도를 올려야 할 때가 있다. 지금까지는 네이버 지도를 캡쳐하여 그림판으로 편집하여 이미지 파일로 올렸었는데 HTML 소스를 얻어 올리는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네이버 지도 올리는 방법 먼저 인터넷 브라우저(크롬이나 익스플로러)로 네이버 지도에 접속한뒤 블로그에 올리고 싶은 지점에서 우측에 있는 링크 아이콘을 클린한다. 참고로 필자는 서울 시청을 예제로 선택하였다. 그 다음 HTML 태그 편집기 및 미리보기 항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어렵지 않게 따라올 수 있을 것이다. HTML 태그 편집기 및 미리보기 항목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몇 가지 간단한 .. 더보기 [리눅스 명령어] look - 파일에서 특정 문자로 시작하는 라인 출력 ※ 요약 리눅스 명령어 look은 파일에서 주어진 문자로 시작하는 라인을 검색하여 출력하는 명령어다. 글로 설명하는 것보다 예제를 직접 보는 것이 직관적이므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 경로 /usr/bin/look ※ 사용법 look [옵션]... 문자열 [파일명] ※ 옵션 옵션 설명 -b 주어진 워드 리스트에서 이진 검색을 이용 -d 알파벳 문자만을 비교 검사 -f 알파벳 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t character 문자열의 마지막 문자(character)를 지정 ※ 사용예 아래는 look 명령어의 간단한 사용 예제다. 이미지에 설명이 있으므로 따로 설명은 하지 않겠으며, 보면 알겠지만 아주 간단한 명령어다. 아래 예제는 파일명을 지정하지 않았다. 파일명을 지정하.. 더보기 이전 1 2 3 4 5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