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설치 전에 준비해야할 사항으로는 웹 서버와 MySQL입니다.
웹 서버와 MySQL가 된다는 가정 하에 시작합니다.
한글 워드프레스 다운
영문 워드프레스 다운
사이트에서 워드프레스를 다운 받습니다.
영문으로 다운받으면 영문으로, 한글이면 한글로 설치가 진행되고
설치된 이후의 운영도 해당 언어로 진행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733F33528732C720)
압축 푼 파일을 웹서버에 집어넣습니다.
저는 웹 서버 하위에 wordpress폴더를 만들어서 파일들을 집어 넣었습니다.
집어넣을 때는 ftp로 넣으셔도 되고 저처럼 smb로 넣으셔도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4611133528732C725)
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줍니다.
많이 사용하는 phpMyAdmin으로 만들어주셔도 되고 Workbench로 해주셔도 되고 저처럼 HeidiSQL로 하셔도 됩니다.
저는 DB명을 db_wordpress로 했고, DB명칭은 마음대로 하셔도 됩니다.
참고로 wordpress전용 유저도 만들어 두면 좋습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91533528732C822)
이제부터 설정 및 설치 입니다.
저는 압축 푼 파일들을 웹 서버 하위 wordpress 폴더에 위치시켰으므로
주소에 /wordpress/ 를 덧붙여 워드프레스에 접속합니다.
wp-config.php 파일을 찾을 수 없어 에러가 났는데 "Create a Configuration File" 버튼을 눌러 만들 것이므로 상관없습니다.
"Create a Configuration File" 버튼을 눌러 진행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EBF33528732C93B)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필요한 것들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Let's go!"버튼을 눌러 진행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595C33528732C927)
초반에 워드프레스를 위해 만들어둔 DB명과 유저, 호스트 등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입력하면 됩니다.
Database Name : db_wordpress
User Name : user_wordpress
Password : user_wordpress의 패스워드
Database Host : 웹 서버 주소
Table Prefix : 테이블 만들 때 접두어 설정, 그냥 냅둬도 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365D433528732CA23)
"Run the install"버튼을 눌러 설치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1E2333528732CA17)
설치가 끝나면 사이트 타이틀과 계정, 메일 등을 입력합니다.
Privacy에 체크하면 구글 등의 검색 엔진에 검색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57C5133528732CB36)
"Log In"버튼을 눌러 로그인합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689933528732CB22)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154EB33528732CB28)
로그인하면 나오는 대쉬보드입니다.
한글로 설치하면 한글로 나오는데, 완벽하진 않습니다 ㅠㅠ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77E733528732CC1F)
만들어진 워드프레스 화면입니다.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776E533528732CD1F)
설치가 끝나고 보니 DB에 테이블이 생성 되었네요.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22089733528732CD1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