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intf

[C언어] printf를 이용해 소수점 이하 자릿수 설정하기 ※ 요약 C언어의 printf를 이용하여 float형이나 double형을 출력할때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조절해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한 글이다. C언어의 printf를 이용하여 자릿수를 정할 때는 보통 printf( "%.2f\n", 3.141592 );와 같이 자릿수를 설정하면 런타임 때 자릿수를 바꿀 수 없지만 이번에 포스팅하는 방법으로는 런타임 때도 자릿수를 바꿀 수 있어 좀 더 유연하게 출력이 가능하다.C++의 cout도 궁금하다면 부동 소수점의 출력 정밀도 설정을 참고하기 바란다. ※ 소스코드 소스코드는 딱히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간단하다. 필자는 예제를 위해 아래처럼 Print함수를 제작하였고, 필요에 따라 자릿수를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하였다. 참고로 인자로 받을때 레퍼런스로 받도록 &를 붙였.. 더보기
[C++] 02-01. printf를 대신하는 cout ※요약 C++의 cout은 C언어의 printf와 달리 출력할 것이 문자인지 정수인지 소수인지 자동으로 알아차리고 출력한다. 위와 같은 것이 가능한 이유는 객체 지향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연산자 오버로딩의 한 예이다. ※특징 - cout은 "씨 아웃"이라고 발음한다. - cout은 문자열, 수, 문자 등 다양한 데이터형을 서식문자 없이 자동으로 출력해 준다. - cout에서 더보기
[C언어] 각 변수 타입별 printf 함수 서식 문자 printf 끝에 붙어 있는 f는 Formatting의 약자로써, 서식화된 출력을 한다는 뜻입니다. printf함수는 %로 시작하는 서식과 인수(변수)를 대응시켜 조립(Formatting)하는 과정을 거친 뒤 문자열로 출력합니다. 아래는 서식 표 입니다. 출처 책 : 혼자 연구하는 C/C++( page 86 )에 제가 조금 덧붙였습니다. 서식 의미 출력 타입 설명 %hd short integer unsigned short 부호없는 10진 정수 출력 %d 또는 %i Decimal, Integer int 10진 정수 출력 %ld long 10진 정수 출력 %lld long long 10진 정수 출력 %lu unsigned long 부호없는 10진 정수 출력 %I64d __int64 10진 정수 출력 %I6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