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stsc

[윈도우] mstsc - 원격 제어 데스크톱 연결 포트 번호 변경 ※ 요약 윈도우 원격 제어(mstsc)의 디폴트 포트 번호는 3389번인데, 잘 알려진 포트 번호이다 보니 보안상 다른 포트 번호로 바꿔주는게 좋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두 가지 방법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 첫 번째 방법 첫 번째 방법은 해당 PC의 레지스트리를 건드려 포트 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이다. 위 파일은 스누피님이 만든 스크립트로써 간편하게 포트 번호를 바꿀수 있다. 참고로 윈도우10은 직접 테스트해보지는 못했다. ※ 두 번째 방법 두 번째 방법은 공유기(포트 포워딩)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필자가 이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장점은 PC의 원격 포트 번호를 안바꿔줘도 되며 PC가 여러 대일 때 관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와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 ip를 세팅해주면 되는.. 더보기
[iOS] 아이폰, 아이패드로 윈도우 원격제어 하기 ※ 요약 아이폰, 아이패드에서 윈도우 원격제어를 하는 방법이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공식 원격제어 앱도 있지만 필자의 경우에는 공식 앱에서의 문제도 있고 해상도 제한도 있어서 다른 앱을 사용한다. Parallels, Inc社에서 제작한 RDP/Remote Desktop앱이 이번에 소개할 앱인데, 속도도 빠르고 간편하며 무료이다. ※ 다운로드 방법 1. 다운로드 링크 : https://itunes.apple.com/kr/app/parallels-2x-rdp-remote-desktop/id401103105?mt=8 2. 앱스토어 검색어 : Parallels 2x rdp/Remote Desktop ※ 소개 설치하면 아래와 같이 "RDP"라는 이름으로 설치된다.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등록된 목록이 나온다. .. 더보기
[Windows] 윈도우 원격제어 PC 종료 및 재부팅 시키기 ※ 요약 윈도우에서 원격 제어(mstsc) 중인 PC를 종료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연결 끊기"만 나올 뿐 종료나 재부팅 메뉴가 없다. 이럴 때는 명령어로 종료해야하는 데, 그 방법을 알아보겠다. ※ 방법 먼저 원격제어 대상이 되는 PC를 종료하는 방법이다.원격 제어 대상 PC에서 아래와 같이 실행창에 "shutdown /s /t 0"을 입력하면 해당 피시가 종료된다.숫자 0은 초 단위로써, 입력된 숫자만큼 대기하다가 종료 시킨다. 가령 0 대신 3600을 입력하면 1시간 후에 종료된다. 이번에는 원격제어 대상 PC를 재부팅하는 명령어이다.원격 제어 대상 PC에서 아래와 같이 "shutdown /r /t 0"을 입력하면 재부팅된다.종료 때와 마찬가지로 0 대신 다른 숫자 값을 입력하면, 입력된 초 만큼.. 더보기
[윈도우] mstsc - 원격 제어 시 계정에 암호 없이 사용하기 윈도우 원격 제어(mstsc)는 보안상 계정에 암호가 걸린 계정만 접속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안 정책 때문에 나 혼자 사용하는 데스크탑에도 비밀번호를 걸어야 할 때가 있는데, 계정에 암호가 걸려 있지 않아도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실행" 창에 "gpedit.msc"라고 입력합니다. 2.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뜨면 아래와 같이 [Windows 설정] - [보안 설정] - [로컬 정책] - [보안 옵션]으로 이동 후 "계정: 콘솔 로그온 시 로컬 계정에서 빈 암호 사용 제한"을 "사용 안 함"으로 바꿔주면 됩니다. 단,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추천하지는 않는 방법입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