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썸네일형 리스트형 [Windows] 윈도우10 창 끌어오기 기능 비활성화하는 방법 ※ 요약윈도우10에서는 창 끌어오기라고 해서 창을 모서리나 가장자리로 끌고오면 아래처럼 끌어올 수 있는 항목들을 표시해주는데, 필자에게 이 기능은 참으로 무의미하고 불편한 기능 중에 하나라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설정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윈도우 설정을 실행한다. 실행 방법은 시작 버튼을 누른뒤 톱니바퀴 모양을 찾아 누르면 된다. 그런뒤 시스템(디스플레이, 알림, 앱, 전원) 항목을 선택한다. 아래 화면이 나오면 멀티태스킹 -> 창을 끌 때 창 옆으로 끌어올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합니다.의 스위치를 아래 이미지처럼 끔(Off)으로 하면 설정 완료다. 더보기 엣지(Edge) 브라우저 테마 변경하는 방법 ※ 요약윈도우10에 기본 탑재되어 있는 엣지(Edge) 브라우저의 테마를 바꾸는 방법이다. 테마라고 해봤자 고작 2개지만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아 소개하고자 작성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 설정 방법엣지 브라우저를 실행한뒤 자세히->설정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러면 우측 사이드에 설정 창이 나타나고 중간 쯤에 테마 변경이 있으니, 이곳에서 원하는 테마를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아래 이미지는 어둡게를 선택한 화면이며, 나중에 테마가 더 추가될 수도 있을 거 같다. 더보기 [개발] 파이썬 다운로드 및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 요약이번 포스트에서는 파이썬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운로드는 현재 날짜 기준으로 최신버전인 3.6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것이다. ※ 다운로드 링크https://www.python.org/downloads/ ※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상기의 다운로드 링크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가 있고 원하는 버전을 다운받을 수가 있는데, 개인적으로 3.x 버전을 추천한다. 이유는 파이썬2는 2020년까지 지원 예정이며, 지원하는 라이브러리 또한 16년 5월을 기점으로 파이썬3가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파이썬2를 사용하는 곳이 아직 많으니 원한다면 둘 다 설치해도 상관없다.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Add Python 3.6 to .. 더보기 [Windows] 윈도우10에서 모니터 회전 설정하는 방법 ※ 요약윈도우10에서의 모니터 회전 설정 방법이다. 보통 모니터 회전 설정을 하는 이유는 아래 이미지처럼 모니터의 피봇 기능으로 모니터를 세워서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다. 모니터 회전 설정 기능은 윈도우8부터인가 윈도우10부터 기본으로 지원되는 걸로 알고 있고, 그 미만 버전들은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회전 시켜야 한다. 참고로 아래 사진은 13년 10월 사진이다. ※ 설정 방법설정 방법은 간단하다. 먼저 바탕화면을 마우스 우클릭하여 팝업 메뉴를 띄운뒤 디스플레이 설정 항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방향 이라는 옵션이 있고, 이 콤보 박스 옵션을 선택하면 모니터 회전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자신의 모니터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 했느냐에 따라 선택해야 하는 옵션이 달라지는데.. 더보기 [Windows] 윈도우10 및 7 시간 동기화 방법 ※ 요약이번 포스트에서는 윈도우10과 윈도우7에서의 시간 동기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컴퓨터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이유는, 당연히 알겠지만 컴퓨터의 시간을 정확한 시간으로 맞추기 위함이다. ※ 윈도우10 설정 방법윈도우10에서의 시간 설정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먼저 작업표시줄의 시계를 마우스로 우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팝업 메뉴가 뜨는데, 날짜/시간 조정 메뉴를 클릭하도록 한다.설정 창이 뜨면 좌측 메뉴에서 날짜 및 시간을 선택한뒤 우측 영역에서 자동으로 시간 설정의 스위치를 켬으로 하면 시간이 자동으로 동기화된다. 기본 설정 값이 켬인데, 간혹 몇 초 차이가 날때가 있다. 이 때는 끔으로 했다가 다시 켬으로 하면 된다.만약 임의로 시간을 설정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절차대로 하면 된다. 1. 자.. 더보기 [유틸리티] 윈도우에서 phantomjs 다운로드 방법 ※ 요약 필자는 요새 파이썬으로 웹 크롤러를 개발하고 있는데, 동적 웹 페이지를 크롤링 하기 위해서는 selenium과 함께 phantomjs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윈도우에서 phantomjs를 내려 받는 방법을 알아보고 다음 포스트에서는 리눅스에서 내려받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phantomjs란 팬텀js는 인터페이스가 없는 headless 브라우저다. 웹사이트의 소스코드를 메모리에 불러오고 페이지의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지만 그래픽을 전혀 렌더링 하지 않으며, 파이썬의 셀레니움 라이브러리와 함께 사용하면 자바스크립트와 쿠키, 헤더, 스크린샷 등 강력한 웹 크롤러를 만들 수 있게 된다. ※ 다운로드 주소 http://phantomjs.org/download.html .. 더보기 [Windows] 윈도우 알림 비활성화하는 방법 ※ 요약 윈도우에는 두 가지 종류의 알림이 존재한다. 보안 및 유지 관련 알림과 앱(어플리케이션) 관련 알림이 그 두 가지인데, 이번 포스트에서는 알림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참고로 윈도우7부터 윈도우10까지 적용되는 내용이다. ※ 보안 및 유지 관련 알림 설정 먼저 제어판을 실행한뒤 보안 및 유지 관리 항목을 클릭하도록 한다. 이번에는 좌측 메뉴중 보안 및 유지 관리 설정 변경 항목을 클릭한다. 드디어 알림을 설정하는 곳까지 왔다. 아래에서 비활성화 하고 싶은 알림을 언체크(Uncheck)하면 되겠다. 참고로 언체크할 경우 문제가 생겨도 알림을 못 받아 대응을 못 할 수 있으므로 당연히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필자는 SmartScreen과 윈도우 백업, .. 더보기 [윈도우] 작업 표시줄 시간에 초 단위 출력하는 방법 ※ 요약 이번에 소개하는 내용은 윈도우10 레드스톤1 14393 이후 빌드부터 적용되니 참고하기 바란다. 자신이 윈도우10을 사용하기는 하는데 빌드는 몰라 확인하고 싶다면 [윈도우] winver - 버전 및 빌드 확인 방법이라는 포스트를 참고하면 된다. winver를 통해 빌드를 확인했을때 14393 보다 숫자가 높으면 된다. 아무튼 작업 표시줄에 표시되는 시계는 시 단위와 분 단위만 표시가 되는데, 우연히 초 단위도 표시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소개하고자 한다. ※ 설정 방법 먼저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해야 한다. 실행 창에 regedit이라고 입력하면 되는데, 잘 모르겠으면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방법이라는 포스트를 참고하기 바란다. 편집기에서 아래 경로로 이동하기 바란다. HKEY_CUR.. 더보기 [윈도우] 작업표시줄 위치 변경으로 화면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 요약 예전에는 4:3 비율의 모니터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요새는 16:10이나 16:9같은 와이드 모니터를 많이 사용한다. 필자 생각에 와이드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윈도우 작업 표시줄이 수평(화면 상단 혹은 하단)으로 있는 것보다는 수직(화면 좌측 혹은 우측)에 위치한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는데,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윈도우 작업표시줄 위치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설정 방법 아래는 필자의 모니터 화면이다. 보시다시피 윈도우 작업 표시줄이 아래에 위치하여 있다. 이는 윈도우 기본 설정으로 인해 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이며 와이드 모니터에서 이렇게 아래에 위치할 경우 인터넷 서핑이나 문서를 볼 경우 좌우 여백이 많이 남는데, 좌측이나 우측에 위치하게 할 경우 조금이지만, 좀 .. 더보기 그림판으로 이미지 회전 시키거나 기울이기 ※ 요약 가끔 이미지를 회전 시키거나 기울여야할 때가 있다. 아이폰이나 안드로이드라면 기본 사진 편집 기능을 통해 간단히 회전이 가능한데, 윈도우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윈도우에서도 별거 없이 기본으로 탑재된 그림판으로 가능하다. 따로 사용하는 이미지 뷰어나 편집기가 없다면 꿩 대신 닭이라고, 그림판을 이용해 보자. ※ 이미지 회전 및 기울이는 방법 아래는 필지가 직접 찍은 아이폰 이미지를 그림판으로 오픈한 모습이다. 이 아이폰 이미지를 회전하거나 기울여보도록 하겠다. 먼저 기울여 볼텐데, 아래와 같이 크기 조정 항목을 클릭한다. 단축키는 Ctrl+W다. 팝업 창이 뜰텐데 기울이기 항목에 원하는 각도를 넣으면 기울여진다. 간단하지 않은가? 아래는 기울여진 이미지다. 참고로 1~89도 사이에서 가능하다. .. 더보기 [Windows] 윈도우 인터넷 익스플로러 11 다운로드 방법 ※ 요약 인터넷 익스플로러 11 다운로드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참고로 익스플로러 11 버전은 윈도우7 이상부터 설치할 수 있으므로 비스타나 XP는 다른 버전을 설치하여야 하며, 11 버전이 아마 익스의 마지막 버전일듯 싶다. 그 이유는 윈도우10부터 Edge가 새로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 다운로드 주소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7621/internet-explorer-downloads ※ 다운로드 방법 상기의 다운로드 주소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자신의 윈도우 버전을 선택하면 되는데, 윈도우10의 경우에는 이미 익스플로러 11 버전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아래는 윈도우8.1을 선택 했을때의 .. 더보기 [Windows] 윈도우 익스플로러 팝업 차단 해제하는 방법 ※ 요약 윈도우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팝업 차단 기능을 해제하는 방법이다. 팝업 차단 기능은 광고를 차단할때 매우 효과적이지만 가끔 휴대폰으로 본인 인증이나 공지사항을 봐야할때는 잠시 꺼둬야하므로 알아두면 좋다. 필자도 얼마전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발급 받을때 팝업 창으로 발급 및 조회를 해야해서 잠시 기능을 비활성화 해두기도 하였다. ※ 설정 방법 먼저 익스플로러를 실행한뒤 아래와 같이 옵션->인터넷 옵션 항목을 클릭한다. 만약 버전 차이 등으로 톱니바퀴 모양의 아이콘이 안보일수가 있는데 이때는 ALT키를 누르면 숨겨진 메뉴가 나오며, 도구 -> 인터넷 도구를 차례로 선택하면 된다. 인터넷 옵션 창이다. 개인 정보 탭을 선택한뒤 팝업 차단 사용 옵션을 언체크하면 된다. ※ 관련 페이지 - [iOS] 아이폰,.. 더보기 [Windows] 윈도우10 업데이트, P2P 방식 비활성화 하기 ※ 요약 윈도우10은 P2P(Peer-to-Peer) 방식으로도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이 방식은 장단점이 있지만 개인에게는 단점이 많아 비활성화 하는게 성능면에서 유리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P2P 방식의 업데이트 방식을 비활성화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 방식이 개인에게 단점인 이유는 MS사의 업데이트 서버에서 업데이트 파일을 받는게 아니라, P2P(개인 대 개인)끼리 파일을 주고 받는 방식이라 MS사의 서버는 부하가 덜 걸리고 개인 사용자들의 PC에 부하가 더 걸리기 때문이다. 물론 부하의 양이 부담스러울 정도는 아니겠지만 말이다. ※ 설정 방법 먼저 시작 버튼을 누른뒤 파일 탐색기 밑에 있는 설정 버튼을 누른다. 설정 항목들 중에 업데이트 및 복구 항목을 선택한다. 아래의 고급 옵션 항목을 .. 더보기 [윈도우] 컴퓨터 이름 확인 및 변경 방법 ※ 요약 윈도우가 설치된 PC의 컴퓨터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과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 소개하는 확인 및 변경 방법은 윈도우XP부터 윈도우10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다. ※ 확인 및 변경 방법 먼저 내 컴퓨터를 마우스 우클릭->속성을 누르거나 윈도우 키+Pause Break키를 눌러 아래 창을 띄워 컴퓨터 이름, 도메인 및 작업 그룹 설정의 설정 변경 버튼을 누른다. 컴퓨터 이름 탭의 하위 내용중 변경 버튼을 누른다. 아래에 원하는 이름을 입력한뒤 확인 버튼을 눌러 작업을 완료하면 된다. ※ 관련 페이지 - [맥os] 맥, 맥북 사용자 계정의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 더보기 [윈도우] Windows 10에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 보는 방법 ※ 요약 필자는 처음 윈도우10을 사용했을때 기본 내장된 프로그램, 메모장이나 계산기, 워드, 이벤트 뷰어 등을 찾지 못해 난감했던 기억이 있다. XP나 7과는 다른 UI 때문에 발생한 일인데 독자들도 겪었을 거라 생각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포스트는 윈도우10에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 목록을 보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설치를 할 필요가 없는 포터블 프로그램은 목록에 나타나지 않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 방법 먼저 실행 창을 실행한다. 실행 창의 단축키는 윈도우 키+R키이다. 실행된 창에 shell:AppsFolder라고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보자. 탐색기가 실행되면서 아래와 같이 설치된 프로그램들이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들이 나오다보니 잡다한 것들이 많아 원하는 프로그램을.. 더보기 [윈도우] 마우스 포인터 속도 및 민감도 설정 방법 알아보기 ※ 요약 윈도우에서 마우스 포인터 속도 및 스크롤, 더블 클릭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윈도우XP부터 최신 버전의 윈도우10까지 모두 동일하며, 앞으로 나올 윈도우도 마찬가지로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 설명 먼저 제어판을 실행한뒤 중간 쯤에 위치한 마우스 항목을 클릭하도록 한다. 먼저 포인터 옵션 탭으로 이동하면 아래와 같이 포인터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데 값을 변경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설정 값을 찾도록 해보자. 이 옵션은 사용하는 마우스에 따라, 사용자의 입맛에 따라 설정 값이 많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값을 직접 찾는게 좋다. 이번에는 휠 탭을 봐보자. 한 번에 스크롤할 줄의 수를 조절할 수 있는데, 3줄이나 4줄이 적당하다. 마찬가지로 이 옵.. 더보기 [윈도우] 키보드 입력 속도(재입력 시간, 반복 속도) 조절하기 ※ 요약 윈도우에서는 키보드 입력 속도(재입력 시간 및 반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많아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키보드 입력 속도를 조절한다고 300타 나오는 타자가 500타가 나오는건 아니고 특정키를 반복 입력할 시에 효과가 있다. 반복 입력이 와닿지 않으리라 생각되는데 일단 한 번 설명을 들어보자. ※ 설정 방법 먼저 제어판을 실행한뒤 키보드 항목을 클릭한다. 아이콘 정렬 순서는 이름 순이라 키보드는 아래 쪽에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키보드 속성이 실행된 화면이다. 필자처럼 모든 설정을 우측에 위치하도록 하자. 이렇게 설정할 경우 A키나 백 스페이스 등 단일 키를 계속 누르고 있을 경우 빠르게 입력되어 글자를 빠르게 입력하고 빠르게 지울 수 있다. 글로 설명이 힘든데 키 반.. 더보기 [윈도우] 탐색기에 항목 확인란(체크 박스) ※ 요약 윈도우 탐색기에서 Ctrl키를 누르며 다수의 파일을 선택해야 할 때가 있는데, 실수로 클릭이라도 잘못하면 이제까지 선택했던 파일들이 선택 취소가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럴때 탐색기에 항목 확인란(체크 박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 윈도우10 설정 방법 아래는 필자가 윈도우 탐색기에서 다수의 파일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불행중 다행인지 파일의 개수가 적어서 실수를 해도 별상관없지만 파일 개수가 100개 200개, 혹은 그 이상이라면 어떨까? 상상도 하기 싫다.. 항목 확인란은 이럴때 유용하다. 먼저 탐색기를 실행한뒤 보기 탭을 클릭하면 갖가지 옵션이 나오는데, 이 옵션들중 항목 확인란을 체크하면 된다. 참 간단하지 않은가? 아래와 같이 항목 체크란이 생겨 일일이 Ctrl키를 누르지 않아도 돼서 .. 더보기 [윈도우] 가상 메모리 비활성화 하여 속도 빠르게 이용하기 ※ 요약 윈도우에는 가상 메모리라는 기능이 있다. 이 기능은 옛날옛적 램이 비싸고 부족할때 사용하던 기술로써, 램보다 비교적 저렴한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램(메모리)처럼 사용하던 기술인데 요즘처럼 램 용량이 고용량인 시대에는 오히려 속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 이유는 램보다 수십, 수백배 느린 하드를 램처럼 사용하는건 자동차가 있는데 자전거를 타는 거랄까? 아무튼 필자는 이러한 이유로 7년 넘게 가상 메모리 기능을 사용 안하고 있다. 이쯤되면 문제는 없는지도 궁금할텐데, 단 한번 있었다. 이름이 기억 안나는 3D 롤플레잉인데 가상 메모리가 없다고 실행이 안되더라, 그 외에는 아무런 문제 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혹여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시 활성화하면 되니 걱정하지 말자. 참고로 윈도우10 기준 램 .. 더보기 [유틸리티] 윈도우용 특수문자 입력기 ※ 요약 윈도우에서 특수 문자를 입력해본 사람이라면 얼마나 불편하고 답답한지 알 것이다. 필자도 가끔 특문을 입력하고는 하는데 입력할 때마다 불편하여 뭔가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이 있을까 하여 찾은게 이번에 소개할 특수 문자 입력기다. 누가 만들었는지 도움말이나 About 메뉴가 없어 모르겠지만 잘 사용하도록 하겠다. ※ 다운로드 ※ 설명 프로그램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프로그램을 실행한뒤 원하는 카테고리의 탭을 선택한뒤 원하는 특수문자를 더블클릭하면 된다. 그 뒤 복사 버튼을 누르거나 Ctrl+C 버튼을 누르고 사용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특수문자들을 한 번에 볼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 중에 하나다. 아래는 기호 문자들에 관한 것들이다. 아래는 영문전각 한글자모에 관한 것들이다.. 더보기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cmd) 실행하는 방법 ※ 요약 윈도우에서 명령 프롬프트(cmd나 콘솔 또는 터미널로 부르기도 함)를 실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윈도우 XP부터 윈도우10까지 대부분의 윈도우들에서 통하는 방법이며, 방법도 쉬워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다. 이제 어느 컴퓨터를 만지더라도 쉽게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여 보자. ※ 방법 먼저 실행 창을 실행한다. 실행 창을 실행하는 방법은 단축키 "윈도우 키+R"이다. 실행 창에 cmd라고 입력한뒤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럼 아래와 같이 명령 프롬프트(cmd)가 실행된다. ※ 관련 페이지 - [윈도우] 콘솔 색상 변경하여 개성있게 사용하기 - [C언어] 콘솔 창에서 컬러 텍스트 출력 더보기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 관리로 빠르게 부팅하기 ※ 요약 이번 포스트에서는 시작 프로그램 관리에 대한 방법을 알아볼 텐데, 시작 프로그램을 관리하면 좋은 점은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비활성화함으로써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과 내가 설치하지 않은 악의적인 프로그램이 시작되는걸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1~2개 비활성화 해서는 부팅 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지만 5개 혹은 10개 이상 비활성화 한다면 차이가 좀 날 것이다. ※ 시작 프로그램 관리 방법 먼저 작업 관리자를 실행한다.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는 단축키는 Ctrl+Shift+ESC 다.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면 시작 프로그램 탭으로 이동한뒤 시작 프로그램 목록 중에서 사용 안하는 프로그램을 마우스 우클릭한뒤 사용 안 함을 선택해주면 된다. 이때 자신이 설치 안 한 프로그램이나.. 더보기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방법 ※ 요약 아는 사람이 윈도우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하는 방법을 문의해 왔다. 생각해보니 필자도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처음 실행하려고 했을때 헤매던 기억이 있어 방법을 소개하고자 포스팅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 방법 필자가 소개하는 방법은 옛날 윈도우XP는 물론이고 최신 버전의 윈도우10에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한 번 익혀두면 두고두고 써먹을 수 있다. 먼저 실행 창을 실행한다. 실행 창을 띄우는 단축키는 "윈도우 키+R"이다. 혹시 윈도우 키가 뭔지 모르는 사람은 없겠지.. 키보드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윈도우 키는 보통 좌측 Ctrl키와 Alt키 사이에 있다. 실행된 실행 창에 regedit을 입력한다. regedit은 registry editor의 약자다. 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 더보기 [윈도우] 콘솔 색상 변경하여 개성있게 사용하기 ※ 요약 아래는 윈도우에 내장된 콘솔의 기본 색상 테마다. 검정색 배경에 회색 글씨로 구성된 테마는 단조롭기 짝이 없는데, 필자처럼 콘솔을 자주 사용하는 독자라면 원하는 색으로 개성있게 바꿔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 색상 변경 방법 먼저 콘솔을 실행 시킨뒤 캡션바를 마우스 우클릭하여 팝업 메뉴를 띄운후 속성 항목을 클릭한다. 속성 창이 뜨면 색 탭으로 이동하여 화면 텍스트와 화면 배경 항목의 색을 변경하면 된다. 아래는 필자가 바꿔본 화면이다. 정해진 색상 내에서 바꿔야 하지만 기본 색상보다는 좀 나을 것이다. ※ 관련 페이지 - [C언어] 콘솔창에서 컬러 텍스트 출력- [맥os] 콘솔 창 색상 테마 변경하기 더보기 [윈도우] 계산기 모드 변환으로 유용하게 사용하기 ※ 요약 이번 포스트는 윈도우의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참고로 윈도우XP,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7, 윈도우8.1, 윈도우10까지 모두 지원하며 윈도우10이 가장 많은 모드를 지원하고 그 이하는 3개 정도만 지원하는 걸로 알고 있다. ※ 계산기 실행하는 방법 계산기를 실행하는 방법은 실행창에 calc라고 입력하면 된다. 실행창은 단축키 윈도우 키+R을 누르면 된다. ※ 설명 먼저 기본 값인 표준 모드의 계산기다. 일반적인 용도로써, 특정 분야에 특화된 계산기를 사용하려면 용도를 바꿔줘야 한다. 아래는 공학용 계산기다. 표준 모드와는 다르게 각종 함수들을 볼 수 있다. 아래는 프로그래머용이다. 16진수, 10진수, 8진수, 2진수 등의 값을 볼 수 있고 논리 연산(비트 연산)도 가능하다. 그 밖에 날.. 더보기 [윈도우] 휴지통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하기 ※ 요약 윈도우에서 파일 삭제시, 휴지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파일이 바로 삭제되므로 회사 같은 곳에서는 사용하지 말고 집에서 사용하면 좋을듯 싶다. 물론 필자는 파일 삭제시 실수를 거의 안해서 집에든 회사든 무조건 바로 삭제한다. ※ 적용 방법 휴지통 아이콘을 우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팝업 메뉴가 나오는데, 속성 항목을 클릭한다.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바로 제거 항목을 선택한뒤 확인 버튼을 누르면 적용된다. 이때 모든 휴지통 위치(각 드라이브) 별로 다 해주면 된다. 더보기 [개발] 시스템에 설치된 .Net(닷넷) 버전 확인 ※ 요약 자신의 PC에 설치된 닷넷 프레임워크(.Net Framework)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버전 확인 방법은 크게 3가지다. 콘솔 창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하는 방법과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 마지막으로 레지스트리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콘솔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Net(닷넷)이란https://ko.wikipedia.org/wiki/%EB%8B%B7%EB%84%B7_%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 ※ 콘솔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하는 방법 먼저 콘솔에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된 닷넷 디렉토리 목록을 조회하여 설치된 버전들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아래와 같이 실행 창에 cmd를 입.. 더보기 [윈도우] 작업 관리자 세부 정보에서 열 선택하기 ※ 요약 윈도우 작업 관리자의 세부 정보 탭에서 필요한 열(Column)을 선택하여 원하는 정보들을 보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 포스트는 글로된 설명보다는 이미지와 설명을 함께 보는게 더 이해가 빠를 것이다. 참고로 이 방법은 윈도우XP부터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7, 윈도우10까지, 지금까지 나온 윈도우는 물론이고 앞으로 나올 윈도우에서도 될 것이다. ※ 설명먼저 작업 관리자를 띄운뒤 세부 정보 탭으로 이동한다. 그럼 아래 빨간 박스 안과 같이 여러 열들이 있을 텐데, 이 열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들로 바꿀 수 있다. 먼저 아무 열(컬럼)을 마우스 우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팝업 메뉴가 나오는데 열 선택 항목을 클릭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선택할 수 있는 열 들이 나오는데 필자는 개발자다 보니 메모.. 더보기 [윈도우] CD, DVD, USB 연결시 자동 실행 방지하기 ※ 요약 윈도우에서 CD나 USB 등의 장치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데 필자는 자동실행을 원치 않아 항상 비활성화 해둔다. 이유는 보안 때문인데, USB나 CD에 악성코드가 있는 상태에서 자동 실행되면 감염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요즘엔 백신도 좋고 UAC도 지원하여 예전보다는 이런 문제를 겪을 일이 별로 없을 테지만 그저 순수하게 자동실행을 원치 않는 독자도 있을거 같아 포스팅한다. ※ 설명 먼저 제어판을 실행하여 자동 실행 항목을 클릭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모든 항목을 아무 작업 안 함으로 바꾸면 된다. 자동 실행하고픈 항목은 당연히 기본 값으로 냅둬도 된다. 더보기 [윈도우] 날짜 형식 바꾸는 방법 ※ 요약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다양한 날짜 형식을 지원한다. 윈도우도 예외는 아니어서 2016-08-14를 16-08-14 등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물론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날짜 형식을 바꿀 일이 없지만, 날짜 형식이 너무 길 경우 특정 화면에서 짤릴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겪는 사용자라면 날짜 형식을 짧게 바꿈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아래는 필자가 겪었던 문제인데, 좌측의 경우 날짜 형식(yyyy-MM-dd)이 너무 길어 날짜가 아예 안나오는 문제가 있었지만 날짜 형식(yy-MM-dd)을 짧게 바꾼 후에는 오른쪽 캡쳐 이미지처럼 날짜가 잘 나온다. ※ 바꾸는 방법 먼저 제어판에서 국가 또는 지역 항목을 클릭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아래 창에서 날짜 형식을 지정할 수 있다. 날짜 형식을 간단.. 더보기 이전 1 2 다음